'큰 차 선호 뚜렷' 국산 준중형차 판매 하락세

이창환 2021. 8. 1. 13: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상반기 국내 완성차 5개사의 준중형 승용차 판매가 최근 10년 사이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1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완성차 5개사의 준중형 승용 모델 판매량은 5만3797대로, 작년 동기 대비 3.0% 감소했다.

상반기 차종별 실적을 보면 아반떼가 4만222대 팔려 국내 준중형 세단 판매량의 74.8%를 차지했다.

준중형 모델이 고전하는 것은 최근 자동차 소비자들의 선호가 주로 SUV와 대형차 등에 집중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올해 상반기 국내 완성차 5개사의 준중형 승용차 판매가 최근 10년 사이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소비자들의 대형차·고급차 선호 현상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완성차 5개사의 준중형 승용 모델 판매량은 5만3797대로, 작년 동기 대비 3.0% 감소했다.

이는 10년 전인 2011년 상반기 12만4336대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의 인기로 전체적으로 승용 모델 판매가 감소한 가운데 SUV를 비롯한 다른 차급에서는 다양한 신차가 대거 출시됐지만, 준중형 모델은 새로 투입된 모델이 거의 없어 크게 위축된 상태다.

판매 모델도 줄고 있다. 대표적인 준중형 모델은 현대차 아반떼와 i30와 벨로스터 기아 K3 정도다. 한국지엠(GM)과 르노삼성자동차는 한때 주력 모델이던 크루즈와 SM3를 단종하기도 했다.

상반기 차종별 실적을 보면 아반떼가 4만222대 팔려 국내 준중형 세단 판매량의 74.8%를 차지했다. 최근 부분변경(페이스리프트) 모델을 내놓은 기아 K3가 1만3227대로 24.6%를 차지했다. 사실상 두 모델이 국내 준중형차 시장의 대부분이다.

준중형 모델이 고전하는 것은 최근 자동차 소비자들의 선호가 주로 SUV와 대형차 등에 집중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현대차의 고급 브랜드인 제네시스와 벤츠, BMW 등 수입차가 크게 인기를 끄는 것도 준중형차에 대한 관심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