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가뭄 심화..6월 주택 매매거래량, 전년비 38.5% 감소

조강욱 2021. 7. 30. 0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이 30% 넘게 급감하면서 거래 가뭄 현상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 매매 거래량이 총 8만8922건으로 전월에 비해 8.8%,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는 35.8% 감소했다.

올해 1~6월 누계 주택 매매 거래량은 55만9323건으로 작년 동기에 비해 9.9% 감소했다.

서울의 주택 거래량은 6월 1만1721건으로 전월 대비 10.8%, 전년 동월 대비 39.8% 감소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6월 주택 매매거래량 8.9만 건, 전월세 거래량은 20.1만 건
올해 하반기(7~12월) 전국 아파트 17만1630가구 입주 예정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지난달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이 30% 넘게 급감하면서 거래 가뭄 현상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 매매 거래량이 총 8만8922건으로 전월에 비해 8.8%,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는 35.8% 감소했다.

올해 1~6월 누계 주택 매매 거래량은 55만9323건으로 작년 동기에 비해 9.9% 감소했다.

지난달 수도권 주택 거래량은 전월에 비해서는 11.3%, 1년 전에 비해서는 44.4%나 줄었다. 지방 거래량은 4만6906건으로 같은 기간 각각 6.4%, 25.6% 감소했다.

서울의 주택 거래량은 6월 1만1721건으로 전월 대비 10.8%, 전년 동월 대비 39.8% 감소했다.

6월까지 누계 기준으로는 수도권(27만8340건)은 전년동기 대비 18.0%, 지방(28만983건)은 0.1% 각각 줄었다. 서울은 7만2843건으로 같은 기간 18.1% 감소했다.

주택 유형별로 6월 아파트 거래량은 5만7861건으로 작년 동월 대비 43.5% 줄었고 아파트 외 주택은 3만1061건으로 13.9% 감소했다. 6월까지 누계 기준, 아파트 거래량(37만3014건)은 전년동기 대비 17.5% 줄었고, 아파트 외 주택(18만6309건)은 10.4% 늘었다.

임대차 신고제 자료와 확정일자 신고 자료를 합산한 지난달 전월세 거래량은 총 20만547건으로 전월 대비 15.5% 증가했고 1년 전에 비해선 6.8% 늘었다. 또 6월까지 누계 전월세 거래량(115만8889건)은 전년 동기(112만6261건) 대비 2.9% 증가했다.

수도권(13만86769건)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7.1%, 지방(6만1871건)은 6.2% 늘었다.

아파트 거래량(9만2689건)은 작년 동월 대비 7.0% 늘었고 아파트 외 주택(10만7858건)은 6.6% 증가했다.

임차 유형별로 전세 거래량(11만5648건)과 월세 거래량(8만4899건)은 1년 전과 비교해 각각 6.6%, 7.1% 늘었다.

올 하반기(7월~12월) 전국 입주예정 아파트는 17만1630가구(수도권 9만6332가구, 서울 1만7569가구)로 집계됐다.

수도권은 9만6332가구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 평균(8.0만) 대비 21.0% 증가했으나, 최근 5년 평균(10.2만)과 전년 동기(9.9만)에 비해서는 각각 5.4%, 2.9% 감소했다.

주택 규모별로는 60㎡이하 6만9711가구, 60~85㎡ 8만6019가구, 85㎡초과 1만5900가구로, 85㎡이하 중소형주택이 전체의 90.7%를 차지해 중소형주택의 입주물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주체별로는 민간 12만3209가구, 공공 4만8421가구로 각각 집계됐다.

하반기 물량을 포함한 올해 전체 입주 아파트는 7월 기준 전국 31.9만 가구, 수도권 18.3만 가구, 서울 4.1만 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최근 10년 평균(전국 31.7만 가구, 수도권 14.8만 가구, 서울 3.7만 가구) 수준과 비교할 경우 전국 0.5%, 수도권 23.4%, 서울 9.9% 증가한 수치다.

하지만 최근 입주물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던 5년 평균(전국 39.3만 가구, 수도권 18.9만 가구, 서울 4.2만 가구)과 비교 하면 전국 18.9%, 수도권 3.1%, 서울 3.0%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