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세기 전에 나온 책인데.. 저를 뜨겁게 흔듭니다 [너무 늦은 때란 없다]
[박미연 기자]
야호! 나만의 방을 가지게 되었다. 큰맘 먹고 책상으로 쓸 6인용 테이블, 등받이가 편안한 의자, 누워서 쉴 수 있는 라텍스 토퍼를 샀다. 그동안 나에게 너무 인색했어! 보상 심리가 작동했던 것일까. 그런데 나 자신조차도 나의 방에 익숙하지가 않다. 내가 이러하니 가족들은 말해 무엇하리.
"엄마, 엄마 책상에서 공부해도 돼?"
"의자가 참 편하네!"
시도 때도 없이 아이들이 들락거린다. 옆지기는 토퍼에 벌러덩 드러눕는다. 여기까지는 뭐 괜찮다. 문제는 내가 책을 읽을 때도, 글을 쓸 때도 식구들이 나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여기 가려운데 긁어주라."
"음식물 쓰레기통 샀는데 어때?"
꼭 지금 이래야 돼? 짜증이 몰려온다. 그들이 나를 존중하지 않는다는 느낌이 든다. 너무 오랜 세월 그들의 시간, 그들의 욕구, 그들의 편의를 1순위에 두고 살아왔다. 이제 와서 '나'를 우선 순위에 두고 사는 것이 쉽지 않겠지.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겠다. 조곤조곤이 먹히지 않을 때는, 분노를 터트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이제는 내 허락 없이 내 방에 들어오지 마! 나 혼자만의 시간이 절실하단 말이야. 너희들의 욕구가 나의 욕구, 너희들의 성공과 실패가 나의 성공과 실패, 너희들의 두려움이 나의 두려움, 너희들의 기쁨이 나의 기쁨이 되는 그런 삶을 이제 그만 살고 싶어. 그런데 그게 잘 안돼. 그래서 물리적으로라도 좀 떨어져 있고 싶은 거야."
잃어버린 '나'를 되찾기 위해서는 나 혼자만의 장소, 나 혼자만의 시간이 꼭 필요하다. 거기다 그 여정 중에 길잡이가 되어줄 책이 있다면 더할 나위 없겠다.
▲ 책 '여성성의 신화' |
ⓒ pixabay |
베티 프리단의 <여성성의 신화>는 읽으면 읽을수록 내가 되는 책이다. 무려 700페이지에 가깝다. 끝까지 다 읽을 수 있을까. 염려 붙들어 매시라. 읽으면 읽을수록 한 인간으로서 '나'를 발견해가는 꿀맛이 마지막 페이지로 이끈다.
베티 프리단이 이 책을 쓸 무렵(1963년)은 대부분의 여성들이 가정의 울타리 안에 모습을 감추었던 때였다. 그녀들은 여성성의 신화에 인생을 걸었다. 남편과 아이들을 위해 사는 것이 가장 여성다운 삶이라는 사회문화적 인식이 그녀들을 사로잡았기 때문이다. 온갖 매체와 전문가들이 만들어낸 이미지가 여성들의 생활을 규정하고 그들의 꿈을 반영했다.
어떤 여자들은 집과 결혼한다.
그것은 또 다른 종류의 피부: 그것은 심장을 가졌고,
입을 가졌고, 하나의 간과 똥을 가졌다.
벽들은 불변하며 핑크빛이다.
보라 그녀가 하루 종일 어떻게 앉아
충실하게 제 자신을 씻어 내리고 있는가를.
남자들은 강제적으로 들어간다. 요나처럼 되돌아와,
그들의 살의 엄마들에게 들어간다.
여자는 그의 엄마다.
그것이 중요한 일이다.
앤 섹스턴의 '가정주부'
당시 여성의 역할을 규정하는데 프로이드는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는 "여성을 남성을 사랑하고 남성의 욕구를 채워주며 남성에게 사랑받음으로써만 존재할 수 있는 어린아이 같은 인형"으로 규정했다. 이것은 여성들이 교육, 자유, 권리로 나아가는 길을 막았다.
게다가 자본주의 상술은 여성들의 가사 노동의 영구화를 환영했다. 소비지향적인 삶과 물질의 소유가 그녀들을 구원해줄 것처럼 미끼를 던졌다. 이런 상황에서 그녀들이 여성성의 신화에서 벗어나기란 쉽지 않았다.
여기에 베티 프리단은 도발적 의문을 던진다. 여성들이 겪고 있는 '이름을 붙일 수 없는 문제'가 무엇일까.
여성들의 자아 찾기, 모두에게 중요한 일
베티 프리단은 여성들이 가정에서 남편과 자녀들만을 위해 살 때, 삶의 의욕을 상실할 수 밖에 없다고 말한다. 가사는 특별히 숙련된 기술이나 교육을 받지 않아도 누구나 할 수 있다. 지루하고 반복적인 일이라 거기에서 어떤 성취감을 느끼기도 어렵다.
자아 정체성에 대한 욕구, 자아 존중에 대한 욕구, 성취하고픈 욕구, 독톡한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인정될 때 사람은 인간다워지고 살아있음을 느낀다고 한다. 사회적인 공헌과 인정을 통해 자신을 쓸모있는 존재로 받아들인다.
이제는 여성들이 더 '여성적'이 되도록 촉구하는 것도, 어머니들에게 아이들을 더 '사랑'하라고 촉구하는 것도 멈춰야 한다. 그러한 요구는 여성을 비인간화한다. 게다가 이런 여성들의 헌신은 자녀들에게 의존감과 수동성을 심어줄 뿐이라고 못을 박는다.
<여성성의 신화>(1963년)는 영화 <댈러웨이 부인>, <모나리자 스마일>, <디 아워스>, <82년생 김지영> 등 여성 영화을 제대로 볼 수 있도록 나침반 역할을 한다. 제2세대 페미니즘 운동에 불을 붙인 것도 이 책이다. 비록 당시 백인 중산층 여성만을 대표했다는 비난을 받았지만...
명저임에 틀림없다. 첫 출간 후 반세기가 지난 지금도 나에게 크게 공명하니 말이다. 여전히 가사와 양육이 여성들의 역할로 규정되고, 직업의 세계에서도 돌봄 노동과 감정노동이 여성들의 몫인 세상에 살고 있기 때문이겠다.
베티 프리단은 이렇게 말을 걸어온다.
'남편이나 자식을 통해 살지 않아도 돼. 자기를 발견하고 성취하는 삶을 살아봐. 그러면 마침내 자기 자신이 되어 남녀가 서로 더 잘 이해하게 되지. 공동선의 기준을 함께 만들어 갈 때, 새로운 사회가 열릴 거야.'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기자의 브런치에도 실립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누가 민주당 적통인지 정말 안 궁금하다
- '충전 중' 국민의힘 들뜬 모습... "윤석열 입당 확실"
- "오세훈, 세월호 지우기 중단하라"... 서울시 "오늘 기억공간 철거"
- 미친 폭염 속 인형집회, 구로 항동주민의 절규
- 스마트폰 붙들고 사는 아이들, 이런 사정이 있었다
- 재수감 김경수 "시련의 시간, 건강한 모습으로 돌아오겠다"
- 국민의힘 의원 41명 "윤석열, 빠른 입당 촉구... 오면 보호"
- '협찬 의혹' 해명하려 이낙연 부인 끌어들인 윤석열캠프
- [오마이포토2021] 오세훈 찾아간 윤석열, 웃으며 악수
- "배우만 하겠다" 윤석열 향한 비판... "배우협회가 항의할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