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빈과일보 폐간, G2 국가 중국의 언론 탄압

2021. 6. 25. 04: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홍콩의 반중 매체 빈과일보가 24일자를 끝으로 폐간됐다.

중국 당국은 최근 홍콩보안법 위반 혐의를 적용해 빈과일보의 편집국장과 수석논설위원 등을 잇따라 체포하고 회사 자산을 동결함으로써 빈과일보를 폐간으로 내몰았다.

유럽연합 등에서 "언론의 자유 파괴" "신문·출판 자유의 종언" 등의 표현으로 빈과일보 폐간을 강하게 비판하자 중국 당국은 내정 간섭, 국제법과 국제관계 기본원칙 위반이라고 반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홍콩의 반중 매체 빈과일보가 24일자를 끝으로 폐간됐다. 종간호 발행에 앞서 신문 홈페이지 서비스가 중단됐고 자매지인 넥스트매거진도 발행을 멈췄다. 빈과일보의 폐업은 독자들의 선택 때문이 아니라 홍콩보안법을 앞세운 당국의 탄압이 직접적 원인이다. 자유 언론의 일원으로서 경악하지 않을 수 없다.

빈과일보는 패션사업가 지미 라이가 26년 전 창간했다. 그는 1989년 톈안먼 유혈진압에 충격을 받고 90년 넥스트매거진, 95년 빈과일보를 차례로 창간했다. 빈과일보는 2002년 둥젠화 초대 홍콩 행정장관 취임 이후부터 중국과 홍콩 정부를 신랄하게 비판했다. 2019년 ‘송환법’ 반대 시위 때 공권력의 폭력을 적극 보도했고 시위 참여를 촉구하는 등 반중 색채를 분명히 했다. 중국 당국은 최근 홍콩보안법 위반 혐의를 적용해 빈과일보의 편집국장과 수석논설위원 등을 잇따라 체포하고 회사 자산을 동결함으로써 빈과일보를 폐간으로 내몰았다.

홍콩 내에서는 빈과일보에 대해 ‘자유의 수호자’ 혹은 ‘국권을 더럽히는 자’로 찬반론이 엇갈린다고 한다. 하지만 나쁜 평가가 존재한다고 폐간이 정당화되는 것은 아니다. 건강하고 성숙한 사회에서는 껄끄러운 목소리도 용인함으로써 권력을 견제토록 한다. 여론의 다양성을 보장하는 것은 시민들의 자발적 논쟁을 통해 자연스럽게 주도적 여론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다. 국가권력이 개입해 한쪽 언로를 막는다고 홍콩 문제를 둘러싼 이견이 근본적으로 해소되지 않는다.

유럽연합 등에서 “언론의 자유 파괴” “신문·출판 자유의 종언” 등의 표현으로 빈과일보 폐간을 강하게 비판하자 중국 당국은 내정 간섭, 국제법과 국제관계 기본원칙 위반이라고 반발했다. 그러나 인권 문제에는 국내법, 국제법이 따로 있을 수 없다. 문화대혁명을 다시 보는 듯한 빈과일보 폐간은 G2 국가라는 중국의 위상에 회의를 품게 한다.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