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라디 해프닝, 양팀 수뇌부까지 번졌다.."사기꾼"vs"문제 없어"

차승윤 2021. 6. 24. 08:4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워싱턴 선발 투수 맥스 슈어저가 심판진에게 이물질 검사를 받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

미국 메이저리그(MLB) 워싱턴과 필리스의 투구 이물질 언쟁이 이틀 연속 이어졌다. 감독과 투수 사이의 싸움이 양 팀 구단 수뇌부로 번졌다.

메이저리그 공식 홈페이지 MLB.com, 미국 AP 통신 등은 24일(한국시간) 마이크 리조 워싱턴 단장과 데이브 돔브로스키 필라델피아 사장이 전날 사건을 놓고 비판과 변호를 전했다고 보도했다.

사건의 발단은 23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시티즌스뱅크 파크에서 열린 워싱턴과 필라델피아의 경기였다. 워싱턴 선발 투수로 나온 맥스 슈어저는 이날 경기 중 세 번이나 검사받으며 심판진의 집중 단속 대상이 됐다. 특히 4회 말 세 번째 검사 때 조 지라디 필라델피아 감독이 이닝 도중 의혹을 제기하면서 양자 간 갈등이 폭발했다. 슈어저는 모자와 벨트까지 벗어 결백을 주장했다. 결국 슈어저는 5회 말 투구를 마치고 결백을 외치며 다시 한번 필라델피아 벤치와 언쟁을 벌였고 분노한 조 지라디 감독은 벤치에서 나오다 심판진에 의해 퇴장까지 당했다.

경기 종료 후 양 팀 수뇌부는 자팀 변호에 나섰다. 마이크 리조 워싱턴 단장은 이날 지역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지라디는 사기꾼이다(con artist)”라며 필라델피아 측을 강하게 비판했다. 리조 단장은 “지라디가 창피해해야 할 일이고, 필라델피아 구단이 창피해해야 할 일이며, 야구가 창피해해야 할 일이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비신사적 작전(Gamemaship)을 사용했다. 이물질과는 아무 상관도 없었다”라며 “그에게 검사를 요구할 타당한 이유가 없었다. 심판진은 허락하지 말았어야 했다”라고 말했다.

돔브로스키 필라델피아 사장도 기자 회견을 통해 맞받아쳤다. 그는 “지라디는 사기꾼이 아니다”라며 “아침에 사무국 총재실과 통화했다. 심판진은 지라디의 요청이 정당하다는 데 동의했다”고 주장했다. 비신사적 전략을 썼다는 리조의 비판에도 반박했다. 그는 “슈어저에게 비신사적 전략은 절대 쓰지 않는다”라며 “슈어저는 분노하면 훨씬 더 공격적으로 던지기 때문이다. 그가 좋은 투수가 된 이유다”라고 설명했다.

디트로이트 단장 출신인 돔브로스키는 데이브 마르티네즈 워싱턴 감독과 슈어저 모두와 인연이 깊다. 몬트리올 엑스포스 프런트와 단장, 디트로이트 단장을 역임한 돔브로스키는 선수 시절의 마르티네즈를 몬트리올로 영입했고 애리조나에서 완전히 꽃피지 않았던 슈어저를 디트로이트로 영입해 사이영상 투수로 키워냈다.

팀과 전 소속팀 선수 사이에서 어색할 수 있었지만 돔브로스키는 필라델피아 사장 직분에 충실했다. 그는 “리조는 그의 구단을 변호할 것이다. 나도 마찬가지다”라며 “난 슈어저의 업적과 노력을 존경한다. 얼마나 노력하는지도 안다. 그러나 난 우리 팀을 위해 옳은 일을 해야 한다”라고 슈어저 대신 지라디를 변호해야 한다고 전했다.

차승윤 인턴기자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