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분 흐리멍덩하게 하는 음식 4가지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2021. 6. 23. 16: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음식은 종류에 따라 기분에도 영향을 미친다.

미국의 정신과 전문의이자 음식을 처방하는 심리학자 우마 나이두 박사의 저서 《미라클 브레인푸드》를 바탕으로, 우울증을 유발해 기분을 흐리멍덩하게 만드는 음식에 대해 알아본다.

340mL짜리 탄산음료 한 캔을 매일 먹으면(설탕 약 45g 섭취) 우울증 위험은 5% 상승한다.

우마 나이두 박사는 "우울증을 예방하려면 모든 종류의 트랜스 지방을 차단하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설탕은 우울증 위험을 높여 기분을 흐리멍덩하게 만들 수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음식은 종류에 따라 기분에도 영향을 미친다. 미국의 정신과 전문의이자 음식을 처방하는 심리학자 우마 나이두 박사의 저서 《미라클 브레인푸드》를 바탕으로, 우울증을 유발해 기분을 흐리멍덩하게 만드는 음식에 대해 알아본다.

◇설탕

설탕을 먹을수록 우울해질 확률이 높다. 3만7131명을 대상으로 한 메타 연구에 따르면, 설탕으로 단맛을 낸 음료를 마셨을 때 우울증을 겪을 확률이 더 높아졌다. 340mL짜리 탄산음료 한 캔을 매일 먹으면(설탕 약 45g 섭취) 우울증 위험은 5% 상승한다. 하루에 2.5캔을 마시면(설탕 약 110g 이상 섭취) 우울증 위험이 25%까지 급증한다. 설탕, 탄산음료 등 다량의 정제당과 첨가당이 포함된 음식을 먹으면 뇌에 필요 이상의 포도당이 넘쳐나기 때문이다. 이는 뇌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빵

빵, 파스타 등 정제 밀가루로 만든 모든 고탄수화물 식품은 크게 달지 않더라도 몸 안에서 설탕과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된다. 그렇다고 모든 탄수화물을 멀리해야 되는 것은 아니다. 질이 좋은 탄수화물을 선택적으로 먹어야 한다. 대표적인 좋은 탄수화물로 통곡물이 있다. 통곡물은 당지수(GI)가 낮은 음식이다. 당지수는 식품이 소화되는 과정에서 얼마나 빨리 포도당이 분해되는지 측정한 수치다. 체내에서 빠르게 포도당으로 변환되는 음식일수록 당지수가 높다. 1만5546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양질의 탄수화물을 먹은 사람은 당지수가 높은 탄수화물을 섭취한 사람보다 우울증을 앓을 확률이 30% 낮았다. 당지수가 높은 그 밖의 식품으로는 감자, 흰쌀밥 등이 있다.

◇다이어트 음료

다이어트 콜라를 비롯한 여러 인기 다이어트 음료에 들어 있는 주요 인공 감미료인 아스파탐이 특히 뇌 건강에 해롭다. 아스파탐에 관한 연구를 검토한 2017년 리뷰에 따르면, 아스파탐이 행복을 느끼게 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노르아드레날린, 세로토닌의 합성과 분비를 방해한다. 아스파탐이 산화(酸化)를 일으켜 유해물질인 뇌내 활성산소를 증가시키는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

◇​튀긴 음식

대부분의 튀긴 음식이 건강에 해로운 기름으로 조리돼 뇌에 악영향을 미친다. 대표적인 나쁜 지방으로는 마가린, 쇼트닝, 트랜스지방이 있다. 실제 식단에 트랜스지방이 많이 포함돼있을수록 우울감을 느낄 확률이 더 높아진다는 사실을 밝힌 연구 결과가 있다. 같은 연구에 따르면 단일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높은 올리브유 등은 우울증 위험을 유의미하게 낮췄다. 우마 나이두 박사는 "우울증을 예방하려면 모든 종류의 트랜스 지방을 차단하라"고 말했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