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올림픽 관중 1만명인데.. 개막식은 2만명 허용?

노유림 2021. 6. 23. 00: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다음 달 23일로 예정된 도쿄올림픽 개막을 한 달 앞두고 일본 내에서 개막식 수용 인원을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경기 수용 관중을 최대 1만명으로 한정한 것과 달리 올림픽 조직위원회가 스폰서, 관계자 등이 참가하는 개막식 수용 인원을 2만명까지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7일 일본 내 여론조사 결과 일본 국민의 압도적 다수가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동안 도쿄 올림픽을 개최하는 것에 회의적인 반면, 소수의 사람들만이 공개적으로 항의 시위를 벌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지난달 9일 도쿄 올림픽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도쿄 국립경기장 주변에서 올림픽 반대 시위를 벌이는 모습. 2021.06.17. 뉴시스


다음 달 23일로 예정된 도쿄올림픽 개막을 한 달 앞두고 일본 내에서 개막식 수용 인원을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경기 수용 관중을 최대 1만명으로 한정한 것과 달리 올림픽 조직위원회가 스폰서, 관계자 등이 참가하는 개막식 수용 인원을 2만명까지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다.

22일 지지통신 보도에 따르면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 등이 도쿄올림픽 개막식에 2만명까지 입장을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과 관련, 일본 내에서 논란이 불거졌다.

조직위 측은 관객과는 별도로 스폰서를 추가 인원으로 상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도쿄올림픽 조직위 간부는 개막식에 대해 “특별한 행사다. 입장객은 2만~3만명 정도 되어도 괜찮다”고 통신에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고이케 유리코(오른쪽 두 번째) 도쿄도지사가 18일 도쿄도 청사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하는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도쿄도는 2020 도쿄올림픽 관계자들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했다. 2021.06.18. 뉴시스


그러나 여론은 올림픽 관계자만 ‘특별’ 취급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분위기다. 정부의 코로나19 대책 분과회 회장인 오미 시게루(尾身茂) 지역의료기능진전기구 이사장 등 전문가들은 이미 도쿄올림픽을 무관중으로 개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언한 바 있다.

이에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총리도 지난 21일 “오미 회장과 여러분의 제안은 확실히 수용하겠다”며 코로나19 긴급사태 선언 발령 시 무관중 개최 가능성을 시사했다.

일본 정부는 유관중 경기 개최를 하더라도 다른 일본 내 행사보다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키로 하고 도쿄(東京)도,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 IOC,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 등과 5자 회의를 통해 경기장 수용 정원의 50% 안에서 최대 1만명까지 관중을 수용하겠다고 최종 결정했다.

때문에 조직위 측이 스폰서 등을 ‘특별’ 취급해 2만명까지 허용하려 하는 것은 정부 방침에 역행하는 것으로 해석될 가능성도 있다.

2021 도쿄올림픽을 한달여 앞둔 22일 서울 잠실종합운동장 올림픽전시관에서 직원이 이번 도쿄올림픽 엠블럼을 살펴보고 있다. 2021.06.22. 뉴시스


제1 야당 입헌민주당 렌호(蓮舫) 대표 대행은 트위터를 통해 “개막식만 갑자기 예외일 순 없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나가쓰마 아키라(長妻昭) 부대표도 이날 당 회의에서 “(전문가의 제언에) 완전히 반하는 얘기다. 2만명은 있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도쿄도의회의 오지마 고헤이(尾島紘平) 의원도 일본 스포츠 매체 도쿄스포츠에 “국민의 이해와 협력이 있어야 하는 올림픽인데 이걸로 이해를 얻겠는가. 특별한 사람들은 사퇴해도 되지 않겠는가”라고 꼬집었다. 해당 매체는 특별 취급을 받는 IOC 관계자 등이 이른바 ‘올림픽 귀족’으로 불리고 있다고 전했다.

이처럼 논란이 커지자 무토 도시로(武藤敏郎) 조직위 사무총장은 21일 기자회견을 열어 “정사(精査·자세히 조사, 면밀히 살펴봄) 중이라 구체적인 숫자는 말씀드릴 수 없으나 그것(2만명)보다는 명백히 적은 숫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유림 인턴기자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