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1차접종 50만7319명 ↑..이상반응 1만230건 ↑

천금주 2021. 6. 19. 10: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자가 18일 하루 50만명 넘게 늘었다.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의심 신고 사례는 사흘간 1만230건 늘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접종 대상자(1270만3394명)의 80.2%가 1차 접종을 마쳤고, 2차 접종률은 6.5%다.

화이자 백신의 경우 전체 대상자(426만2412명) 가운데 81.8%가 1차, 49.1%가 2차 접종을 완료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시스

국내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자가 18일 하루 50만명 넘게 늘었다.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의심 신고 사례는 사흘간 1만230건 늘었다. 이 중 사망 의심 신고는 29건이다.

19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전날 1차 신규 접종자는 50만7319명으로 집계됐다. 백신 종류별로 보면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자가 44만2415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화이자 백신 3만4827명, 얀센 백신 3만77명이다. 모더나 백신 접종은 지난 17일부터 상급종합병원에서 시작됐으나 접종 인원은 아직 집계되지 않았다.

이날 0시 기준 국내 누적 1차 접종자는 총 1476만8365명으로, 전체 인구(작년 12월 기준 5134만9116명)의 28.8%에 달한다. 백신별로는 1018만4938명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348만5176명이 화이자 백신을 각각 접종했다. 얀센 백신은 접종이 시작된 이달 10일 이후 총 109만8251명이 맞았다.

1회 접종만으로 끝나는 얀센 백신을 맞은 사람은 1·2차 접종 수치에 모두 반영된다. 2차까지 접종을 마친 사람은 12만6036명 늘었다. 이 가운데 얀센 백신을 제외하고 7만5555명이 화이자 백신, 2만404명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각각 접종했다.

이로써 2차 접종까지 모두 마친 사람은 총 401만2571명이다. 전체 국민 대비 7.8% 수준이다. 백신별로는 201만5921명이 화이자 백신, 80만1323명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각각 두 차례 접종을 끝냈다. 나머지는 얀센 접종자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접종 대상자(1270만3394명)의 80.2%가 1차 접종을 마쳤고, 2차 접종률은 6.5%다.

화이자 백신의 경우 전체 대상자(426만2412명) 가운데 81.8%가 1차, 49.1%가 2차 접종을 완료했다. 얀센 백신은 우선접종 대상자(114만147명) 대비 접종률이 96.3%다. 현재 국내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얀센, 모더나 등 4가지 백신으로 예방접종이 이뤄지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 모더나 백신은 2차례 접종이 필요하고 얀센 백신은 1차례 접종으로 끝난다. 접종 간격은 백신 종류마다 조금씩 다르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11∼12주, 화이자 백신은 3주, 모더나 백신은 4주 간격을 두고 2차 접종이 권고된다.

이와 함께 이상반응 의심 신고 사례는 사흘간 1만230건이 늘어 누적 6만4003건이다. 1·2차 접종 횟수 합계 대비 신고율은 0.36%로, 아스트라제네카 0.44%, 화이자 0.21%, 얀센 0.29%다. 사망 의심 신고는 29건으로, 화이자 14건, 아스트라제네카 15건 등이다.

주요 이상반응 의심 신고는 신경계 이상반응 등 459건(아스트라제네카 331건, 화이자 76건, 얀센 52건), 아나필락시스 의심 신고는 52건(아스트라제네카 23건, 화이자 14건, 얀센 15건)이다. 나머지 9690건은 근육통, 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 접종 후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일반 의심 신고 사례다.

추진단은 “의료기관에서 신고한 정보를 기반으로 이상반응 신고 통계를 산출했다”며 “백신과 이상반응 간 인과성을 제시하는 게 아니다. 신고 현황 분류는 새로운 정보를 추가하면서 변경될 수 있다”고 밝혔다. 추진단은 통계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예방접종 후 이상 반응 통계를 주 3회(월·수·토요일) 발표한다. 일주일간 이상 반응 신고 내용 분석은 매주 월요일 공개한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