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에 분유·흰우유 매출 뚝..유업계, 사업 다각화 속도

이승진 2021. 6. 19. 09: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저출산 장기화로 해마다 분유 소비가 급감하고 코로나19 이후 재택수업 등으로 우유 소비량도 줄며 유업계가 틈새 시장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19일 유업계에 따르면 우유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원료로 한 건강기능식 매출 규모가 분유 시장을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매일유업은 당초 올해 매출 규모를 700억원으로 예상했지만 뜨거운 시장 반응으로 850억원의 규모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승진 기자] 저출산 장기화로 해마다 분유 소비가 급감하고 코로나19 이후 재택수업 등으로 우유 소비량도 줄며 유업계가 틈새 시장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19일 유업계에 따르면 우유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원료로 한 건강기능식 매출 규모가 분유 시장을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분유 시장(매출액 기준)은 2017년 1628억6000만원에서 2019년 1407억3000만원으로 13.6% 축소됐다. 지난해 상반기 매출은 538억8000만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5.0% 줄었다. 반면, 매일유업의 ‘셀렉스’, 일동제약의 ‘하이뮨’ 두 브랜드의 올해 매출은 1500억원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셀렉스 매출은 2019년 250억원에서 지난해 500억원으로 두 배 뛰었다. 매일유업은 당초 올해 매출 규모를 700억원으로 예상했지만 뜨거운 시장 반응으로 850억원의 규모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매일유업 매출에서 셀렉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3%에서 올해 5%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일동후디스는 하이뮨 덕분에 4년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올해 매출 목표는 지난해보다 75% 높은 700억원에 달한다. 이 외 hy는 ‘100% 식물성으로 채운 단백질’을 콘셉트로 하는 ‘프로틴코드’ 브랜드를 선보였고 롯데푸드 파스퇴르 역시 ‘닥터액티브’를 출시하며 단백질 제품 경쟁에 가세했다.

낙농진흥회의 우유 유통소비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 1인당 흰 우유 소비량은 26.3㎏으로 2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우유 소비량이 줄자 서울우유는 달고나우유, 살롱밀크티 등 가공유 제품 종류를 대폭 늘린 데 이어 컵커피 시장에도 진출했다.

남양유업은 이유식 브랜드 ‘케어비’를 선보이고 배달 서비스를 중심으로 젊은 부부를 공략 중이다. 매일유업은 이너뷰티 시장을 겨냥해 ‘셀렉스 밀크세라마이드’를 출시했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