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 질환 많은 인수감염.. 심각한 위장염 일으킬 수도

이성훈 2021. 6. 19. 04: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수감염(Zoonotic)이란 동물로부터 사람에게 전파되는 감염 및 질병을 뜻합니다.

미국 수의사들의 정보공유 사이트인 수의학병원(VCA)에 따르면 약 100개의 질병이 동물에서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죠.

사람과 한 공간에서 생활하는 개 고양이 등 반려동물도 자칫 질병 매개체가 될 수 있습니다.

침, 배설물, 기생충 연결고리로 광견병, 링웜인수감염은 동물과 직접적인 접촉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라임병은 방치 땐 뇌염 증상 동반
우선 손 씻기 등 위생에 신경써야
고양이 피부병으로 악명 높은 링웜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습. 동그랗게 염증이 생기고 하얀 부스럼이 일어나는 게 특징이다. webmd 홈페이지 캡처


인수감염(Zoonotic)이란 동물로부터 사람에게 전파되는 감염 및 질병을 뜻합니다. 미국 수의사들의 정보공유 사이트인 수의학병원(VCA)에 따르면 약 100개의 질병이 동물에서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죠. 그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새 말 소 염소 등 모든 가축이 잠재적 매개체입니다.

사람과 한 공간에서 생활하는 개 고양이 등 반려동물도 자칫 질병 매개체가 될 수 있습니다. VCA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는 인수감염 질환의 종류 및 예방법을 다음과 같이 소개합니다.

침, 배설물, 기생충 연결고리로… 광견병, 링웜

인수감염은 동물과 직접적인 접촉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반려동물을 쓰다듬거나 동물에게 물리고 긁히는 경우입니다. 그 과정에서 동물의 침, 혈액, 소변 등 체액에 담긴 기생충이나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전파됩니다.

간접적인 감염 위험도 있습니다. 동물이 자주 출몰하는 지역에서 오염된 흙이나 물체의 표면과 접촉하는 경우, 야외활동 중에 모기와 진드기 등 곤충에게 물리는 경우, 감염된 동물의 타액에 오염된 음식을 섭취하는 경우 등입니다.

가장 흔한 감염은 소화기 질환입니다. 살모넬라, 캄필로박터, 지알디아 균이 대표적으로 심각한 위장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 외 회충 촌충 등 기생충처럼 경미한 감염도 있죠.

피부병은 곰팡이에 의해 비교적 쉽게 감염됩니다. 고양이 피부병으로 악명이 높은 링웜 바이러스(백선증)는 가려움과 탈모를 유발하죠. 진드기에 물리면 독특한 고리 무늬가 생기는 라임병은 방치할 경우 고열과 뇌염 증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미 CDC는 임산부, 5세 미만 어린이, 65세 이상 노인, 장기이식을 받아 면역체계가 손상된 사람들은 위 질병들이 치명적이라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합니다.

해법은 위생관리, 야외섭취 금지 훈련도 필수

아끼는 반려동물이 감염원이 되는 비극을 막으려면 위생관리에 철저해야 합니다. 기본적인 위생 수칙, 특히 손 씻기만 잘해도 위 질병의 대부분은 피할 수 있습니다. 동물을 만지지 않았어도 근처에 있었다면 반드시 비누나 세정제를 사용해 손을 씻어야 합니다.

길고양이나 모르는 동물은 가급적 만지지 마세요. 동물의 배설물을 치울 때는 반드시 비닐장갑 등을 착용해야 합니다. 사람이 먹는 음식을 반려동물이 건드리지 못하게 관리하고, 동물이 건드린 음식은 즉시 폐기하는 게 좋습니다.

반려동물의 건강관리에도 유의해야 합니다. 동물병원에서 정기 건강검진을 받고, 가정에서는 매달 진드기와 기생충 제거약 혹은 구충제를 사용해야 하죠. 목욕 혹은 털 관리를 해줄 때마다 피부병이 없는지 꼼꼼하게 확인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오염 가능성이 큰 음식 쓰레기, 뼈, 고인 물 등에 달려드는 반려동물은 방지 교육을 해야 합니다. 야외에서 식탐은 교정하기 까다로운 습관인데요. 이 경우에는 방지용 입마개 착용이 도움이 됩니다.

이성훈 기자 tellme@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