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미쓰비시, 손배소에 김양호 판사의 '강제징용 판결문' 자료로 제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미쓰비시중공업이 강제노역 피해자가 제기한 손해배상소송 재판에 서울중앙지법 김양호 부장판사의 '각하 판결문'을 참고자료로 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94단독 박세영 판사는 18일 강제노역 피해자 양모씨가 미쓰비시중공업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의 변론 기일을 열었다.
미쓰비시중공업 측 소송대리인은 이 판결문을 재판부에 참고자료로 제출하고 이날 변론기일에 "이 판결에 대한 상고심 결론이 나올 때까지 재판을 휴정해달라"고 요청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형민 기자] 일본 미쓰비시중공업이 강제노역 피해자가 제기한 손해배상소송 재판에 서울중앙지법 김양호 부장판사의 '각하 판결문'을 참고자료로 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94단독 박세영 판사는 18일 강제노역 피해자 양모씨가 미쓰비시중공업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의 변론 기일을 열었다. 이 사건은 강제노역 피해자들이 일본 기업을 상대로 낸 소송 수십 건 중 하나다.
재판부는 이날 "피고 측에서 얼마 전에 났던 판결을 참고자료로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 판결은 같은 법원 민사합의34부(부장판사 김양호)가 최근 강제징용 피해자 85명이 일본 기업들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를 모두 각하한 것이다. 각하는 소송 요건을 갖추지 못한 경우 본안을 심리하지 않고 내리는 결정이다.
이 판결은 피해자 개개인의 손해배상 청구권이 한일 청구권 협정에 포함돼 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고 판단해 논란이 됐다.
미쓰비시중공업측도 이 점을 고려해 자료로 제출한 것으로 보인다. 미쓰비시중공업을 시작으로 일본 기업들이 각 소송에 참고자료로 제출되는 사례가 줄을 이을 가능성이 있다. 강제노역 피해자들이 낸 소송은 서울중앙지법에만 20여건 계류돼 있다.
미쓰비시중공업 측 소송대리인은 이 판결문을 재판부에 참고자료로 제출하고 이날 변론기일에 "이 판결에 대한 상고심 결론이 나올 때까지 재판을 휴정해달라"고 요청했다.
재판부는 "대법원 판례도 여럿 있고 아직 최종적인 입장이 나와 있지 않은 데다 언제 나올지도 알 수 없어서 기일은 추정(추후 지정)하겠다"고 했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 文의 전언·MB의 참배…존재감 커지는 전직 대통령들
- 연예인 소주 또 대박..출시 한달만에 10만병 팔려
- [단독]마스크 해제에 벌금 미납자들 긴장…검찰, 9만명 재수배
- [단독]‘미스터트롯’ 정동원, 동부간선도로에서 오토바이 몰다 적발
- '22살 베트남 vs 34살 한국女'가 고민이라는 한국남자
- 우상호 "비명계, 이름 밝히고 주장하라"
- 유연석, 아파트 경비원 무시 의혹에 법적대응
- 오마카세 열풍 속…일본 어패류 수입, 후쿠시마 이후 최대치
- LG전자, 올해 임금 6% 올린다…신입 초임 5100만원
- [뉴스속 인물]한강 '둥둥' 수영장 아이디어…건축가 '비아르케 잉엘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