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 파업 끝났지만..우체국택배 사업 축소 때 "CJ대한통운 수혜"
정부와 택배업계 등에 따르면 16일 오후 열린 택배 노동자 과로사 방지를 위한 사회적 합의기구 전체 회의에서 그동안 쟁점이 됐던 택배 기사 분류 작업 전면 배제와 노동 시간 감축 등에 대한 조율을 마치고 과로사 방지 대책에 노사가 잠정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사는 내년 1월 1일부터 택배 노동자가 분류 작업에서 완전히 제외하고 택배 노동자들의 노동 시간이 주 60시간을 넘지 않도록 합의했다. 만약 주 64시간을 초과할 경우 물량과 배송 구역을 조절하기로 했다. 다만 택배 노조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우체국택배 노조와 우정사업본부는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해 최종 합의문은 나오지 못했다.
택배 노조는 분류 작업이 과로사의 주원인이므로 택배사에 분류 전담인력을 충원하라며 지난 9일 파업에 들어갔다. 이에 우정사업본부와 우정 노조는 반복되는 택배 노동자들의 파업으로 자신들의 업무가 아닌 택배까지 떠맡아야 하는 상황이 이어지자 지난 14일 ‘긴급 노사협의회’를 열고 우체국택배 사업을 소포 사업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우체국택배의 60%를 소화하던 민간 택배 노동자들의 물량을 포기하고 나머지 40% 물량만 공무원인 집배원의 소포 사업으로 소화하겠다는 것이다. 우정 노조의 한 관계자는 “택배 노동자들이 툭하면 집단으로 파업을 일삼는다”며 “최근 집배원들 사이에서 차라리 우리가 배송하자는 공감대가 형성 중”이라고 설명했다.
증권가에서는 예정대로 우체국택배 사업이 축소될 경우 최대 수혜자가 CJ대한통운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 경우 우체국택배 전체 물량의 약 60% 정도가 다른 택배사에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데 특히 점유율과 단가 측면에서 우위에 있는 CJ대한통운이 상당 부분을 흡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양지환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2020년 기준 우체국의 택배처리량 약 2억5000개의 60%에 해당하는 1억5000박스 중 50%가 CJ대한통운으로 이전될 경우 매출은 약 1600억원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망했다.
경쟁 택배사들의 자동화 설비 부족과 분류 인력의 추가 충원 등에 대한 요구가 거세 추가적인 단가 인상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요인이다. CJ대한통운은 지난 4월 한차례 단가 인상을 감행한 바 있는데 2분기 수익에 효과가 바로 나타났다. 정연승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CJ대한통운은 택배 단가 인상 효과로 2분기 수익성 회복이 본격화했다”며 “우체국택배의 사업 중단 여부에 따라 추가적인 단가 인상도 가능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문지민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