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택배 갈등, 노사가 비용 분담하는 방식으로 풀어야

2021. 6. 16. 04: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택배 노조와 택배사, 대리점주 간 이견으로 택배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내부 갈등을 스스로 풀지 못하고 소비자들에게 피해를 끼치게 된 데 대해 택배 노사는 둘 다 무거운 책임감을 느껴야 할 것이다.

택배사는 추가 분류 인력과 비용을 투입하고 노조는 노동시간이 줄어드는 데 따른 어느 정도의 수입 감소를 받아들여야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택배 노조와 택배사, 대리점주 간 이견으로 택배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택배 노조가 지난 9일부터 파업과 부분 파업에 돌입해 일부 지역에서는 배송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내부 갈등을 스스로 풀지 못하고 소비자들에게 피해를 끼치게 된 데 대해 택배 노사는 둘 다 무거운 책임감을 느껴야 할 것이다. 택배 노사와 정부, 더불어민주당, 소비자단체 등이 참여하는 사회적 합의기구가 5개월 전 1차 합의안을 도출했는데도 노사가 이행을 위한 구체적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팽팽히 맞서 있는 현실이 답답하다.

사회적 합의기구는 지난 1월 21일 택배 분류작업에 대한 택배사 책임을 명시하고 최대 노동시간을 주 60시간, 심야배송을 오후 9시까지로 제한하는 데 합의했다. 이를 위해 택배사가 분류 전담 인력을 투입하고 택배 기사가 분류 작업을 할 경우엔 수수료를 지급하도록 했다.

하지만 합의 내용은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 노사가 그동안 자신들의 몫은 감당할 생각이 없고 상대의 양보만을 요구해 왔기 때문이다. 택배사는 택배비를 한차례 인상했는데도 비용 부담을 거론하며 분류 인력 투입에 속도를 내지 않았다. 택배 노조는 노동시간 감축에 따른 수입(수수료) 보전을 요구해 왔다. 이런 태도였으니 2차 합의 도출을 위해 지난 8일 열린 사회적 합의기구 회의가 소득 없이 끝난 게 당연했다. 다행히도 15일 열린 회의에서 노사는 상당한 의견 접근을 이뤘다고 한다. 노사는 이날 논의 결과에 대해 각자 의견 수렴을 한 후 16일 오후 화주 단체와 소비자단체도 참여하는 회의를 열어 합의 도출을 모색할 예정이다.

노사가 자기 입장만 고집하지 말고 합리적인 해법을 찾기 바란다. 노사의 비용 분담이 필요하다. 소비자에게 부담을 전가해서는 안 된다. 노사 자구책이 전제되지 않는 추가 인상은 소비자들이 순순히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택배사는 추가 분류 인력과 비용을 투입하고 노조는 노동시간이 줄어드는 데 따른 어느 정도의 수입 감소를 받아들여야 한다. 그러고 나서도 부족하면 소비자들의 이해를 구하는 게 순서다.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