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방' 많이 볼수록 살찐다"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2021. 6. 15. 09: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먹방(먹는 방송) 시청 시간이 길면 과체중 혹은 비만이 될 가능성이 커진다는 연구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15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전남대 식품영양학부 정복미 교수팀이 2019년 5월 먹방 시청 경험이 있는 성인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먹방 시청 시간이 식행동과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먹방 시청 시간이 길면 살이 찔 가능성이 커진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먹방(먹는 방송) 시청 시간이 길면 과체중 혹은 비만이 될 가능성이 커진다는 연구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15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전남대 식품영양학부 정복미 교수팀이 2019년 5월 먹방 시청 경험이 있는 성인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먹방 시청 시간이 식행동과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먹방의 주당 시청 시간은 7시간 미만이 318명(39.7%)으로 가장 많았다. 주 7시간 이상∼14시간 미만과 14시간 이상은 각각 241명(30.1%)으로, 먹방 시청자 10명 중 4명은 하루 평균 1시간 이상 먹방을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보다는 남성, 20∼30대 젊은 층에서 주 14시간 이상 먹방을 시청하는 비율이 높았다.

평균 체중은 남녀 모두에서 주당 먹방 시청 시간 7시간 미만인 사람보다 14시간 이상인 사람에서 더 무거웠다. 주당 먹방 시청 시간 7~14시간 미만과 14시간 이상인 남성은 평균 체질량지수(BMI, 비만의 척도)가 과체중 상태였다. 여성은 먹방 시청 시간이 14시간 미만인 여성의 평균 BMI는 정상 범위였으나 14시간 이상인 여성의 평균 BMI는 과체중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논문에서 "주당 먹방 시청 시간이 긴 사람은 탄수화물 식품과 육류에 대한 기호도가 높았으며, 먹방 시청 시간이 짧은 사람은 채소·과일을 선호했다"고 지적했다.

먹방 시청 시간은 아침 식사 빈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먹방을 주 14시간 이상 보는 사람에서 아침을 거르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아침을 매일 하는 챙겨 먹는 비율은 먹방 시청 시간이 7시간 미만인 사람에서 가장 높았다. 먹방 시청 시간이 긴 사람은 배달 음식 주문과 야식도 더 잦았다.

연구결과는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