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며 사랑하며] 강점을 탐험할 시간

2021. 6. 14. 04: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학기말이다.

대학에서 '패션 창업'이라는 과목을 가르친 지 벌써 4년째다.

이전에 본 적 없는 기발한 아이디어까지는 아니라도 질이 좋든가, 가격이 저렴하든가 우리 가게의 강점이 무엇인지 손님에게 얘기할 포인트가 하나라도 있어야 한다.

우리 모두 해야 할 일들을 해내느라 정작 나의 강점 따위는 스쳐 보내고 있는 게 아닌지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소정 패션마케터


학기말이다. 대학에서 ‘패션 창업’이라는 과목을 가르친 지 벌써 4년째다. 산업 지형이 바뀌면서 거창한 스타트업이 아니라도 작게 내 일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다. 그럴 때 알아둘 것들을 함께 공부한다. 호기롭게 창업했다가 실패할 경우 금전적 손실뿐 아니라 정서적으로도 상처가 클 테니까 실패 가능성을 최대한 낮추기 위해 점검하고 대비할 것을 많이 얘기하고 있다. 그럼에도 창업의 백미는 역시 ‘차별성’이다. 만들겠다는 물건이나 서비스는 뭐라도 좋아야 한다. 이전에 본 적 없는 기발한 아이디어까지는 아니라도 질이 좋든가, 가격이 저렴하든가 우리 가게의 강점이 무엇인지 손님에게 얘기할 포인트가 하나라도 있어야 한다.

소비자에게 어필할 참신한 포인트를 찾아내는 방법은 다 다르다. 문득 떠올릴 수도 있지만 경쟁 제품을 조사하다가 찾기도 한다. 그래서 학기말 과제에서는 구체적인 목차나 양식을 정해주는 대신 한 학기 동안 검토한 내용 중에서 핵심 가치 하나를 찾고 그걸 다듬어 보여 달라는 다소 막연한 주문을 한다. 그러면 언제나 황망한 표정과 함께 구체적인 가이드를 달라는 요구가 이어진다. 그럴 때 나는 모르겠으니 알아서 하라고 던져 놓을 때와 몇 샘플을 보여줄 경우 결과는 확연히 다르다.

흰 종이에 무턱대고 그림을 그리라고 했을 때는 고생스러웠겠지만 참신하고 희한한 아이디어들이 제법 많이 나오는데, 잘된 사례를 보여주는 순간 비슷비슷한 형식에 거기서 거기인 내용만 보인다. 학생들을 마음껏 괴롭히기에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강의라서 요즘은 꼭 들어가야 할 내용, 몇 페이지 내외, 채점 기준 같은 걸 적어주며 학생들의 창의력을 잠재우고 있다. 의무적인 목록이 나열되면 그걸 채워 넣는 동안 상상력은 어디론가 날아가는 모양이다. 어디 학기말 과제만 그렇겠나. 우리 모두 해야 할 일들을 해내느라 정작 나의 강점 따위는 스쳐 보내고 있는 게 아닌지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윤소정 패션마케터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