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의 물개' 조오련, 국립현충원에 잠들다

최민우 2021. 6. 12. 16: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故) 조오련(1952∼2009)의 유해가 12일 국립대전현충원 국가사회공헌자 묘역에 안장됐다.

고인은 2009년 8월 4일 심장마비로 쓰러져 57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인은 지난달 국가보훈처의 결정에 따라 이날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돼 영원한 안식에 들어갔다.

'아시아의 물개'란 애칭으로 불린 고인은 한국 수영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2일 오후 대전시 유성구 갑동 국립대전현충원에서 '故 조오련 스포츠영웅 안장식'이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고(故) 조오련(1952∼2009)의 유해가 12일 국립대전현충원 국가사회공헌자 묘역에 안장됐다. 고인은 2009년 8월 4일 심장마비로 쓰러져 57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인은 지난달 국가보훈처의 결정에 따라 이날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돼 영원한 안식에 들어갔다.

‘아시아의 물개’란 애칭으로 불린 고인은 한국 수영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고인은 1970년 방콕 아시안게임과 1974년 테헤란 아시안게임에서 2회 연속 수영 자유형 2관왕(400m·1,500m)을 달성했다.

또 1978년 은퇴할 때까지 50개의 한국 신기록을 세우며 한국 수영 발전에 기여했다.

연합뉴스


고인은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는 1980년 13시간 16분 만에 최초로 대한해협 횡단에 최초로 성공했다. 1982년에는 9시간 35분에 걸쳐 영국 도버해협을 횡단했다.

2005년에는 울릉도-독도 횡단으로 독도 사랑을 실천하고 2008년 독도 33회 회영 등 ‘독도는 우리 땅’임을 온몸으로 입증한 애국자다.

연합뉴스


고인은 1970년 국민훈장 석류장, 1974년 체육훈장 거상장, 1980년 체육훈장 청룡장을 받았고, 2020년에는 대한체육회의 대한민국 스포츠영웅에 선정됐다.

국립묘지에 안장된 대한민국 스포츠 영웅은 2002년 故 손기정(육상 마라톤), 2006년 故 민관식 전 대한체육회장, 2019년 故 서윤복(육상 마라톤), 故 김성집(역도), 2020년 故 김일(레슬링)에 이어 조오련이 여섯 번째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