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시, 해변맛길 30리 2구간 환경생태길 개통

박다영2 2021. 6. 10. 13:5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남 목포시가 해변을 도보 관광 코스로 활용하는 해변맛길 30리 조성사업(이하 해변맛길사업)을 순조롭게 추진 중인 가운데 2구간인 2.1㎞의 남항 구간을 개통한다.

해변맛길사업은 하당 평화광장에서 갓바위를 거쳐 남항과 삼학도를 지나 목포해양대학교까지 이어지는 총 11.7㎞를 5개 구간으로 나눠 도보 여행길로 조성하는 사업으로 이번에 개통되는 2구간은 남항∼삼학도 구간의 환경생태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남 목포시가 해변을 도보 관광 코스로 활용하는 해변맛길 30리 조성사업(이하 해변맛길사업)을 순조롭게 추진 중인 가운데 2구간인 2.1㎞의 남항 구간을 개통한다.

해변맛길사업은 하당 평화광장에서 갓바위를 거쳐 남항과 삼학도를 지나 목포해양대학교까지 이어지는 총 11.7㎞를 5개 구간으로 나눠 도보 여행길로 조성하는 사업으로 이번에 개통되는 2구간은 남항∼삼학도 구간의 환경생태길이다.

환경 생태길은 해송숲길 350m, 갈대숲길 1㎞, 습지 연못, 갯벌 등에서 서식하는 짱뚱어 등 어류와 식물을 비롯해 왜가리, 노랑부리백로 등 희귀 조류를 접할 수 있는 점이 특징으로 삼학도 봉황장례식장 앞 진입로 또는 남해수질관리사무소 후문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시는 장기화한 코로나19에 지친 시민과 관광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남항 유휴부지 9천여 평 중 6천여 평을 꽃양귀비와 안개꽃으로, 3천 평을 야생화 25종으로 꾸몄고 장미꽃 길도 조성했다.

이로써 남항 유휴부지는 올해도 꽃 정원으로 주목받을 전망이다.

시는 지난해 가을, 불법투기 쓰레기와 잡초로 몸살을 앓던 남항 유휴부지를 코스모스, 백일홍, 해바라기가 만개한 꽃밭으로 탈바꿈시켜 시민과 관광객에게 호응을 얻고 전라남도로부터 적극 행정 기관 표창을 받았다.

삼학도는 원추리, 붓들레아, 가우라, 삼색조팝 등이 수놓은 4천 평의 테마 화단과 120m의 장미 터널, 난영공원 일원의 금계국 등이 방문객들의 발길을 사로잡고 있다.

중삼학도에 조성된 1㎞의 무장애길에는 산수국, 가우라, 꽃양귀비, 무늬맥문동 등 다양한 자태를 뽐내는 꽃들이 발걸음을 유혹하고 있다.

한편 시는 해안 경관을 감상하며 걷는 명품 길과 쉼터를 조성하고 포토존 등 구간마다 특색있는 시설을 확충하는 한편 이를 주변 관광자원과 연계하는 해변맛길사업을 민선 7기 공약사업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단순히 걷는 데서 그치는 길이 아니라 '근대역사·문화·예술' 등 목포의 매력과 융합되고 '맛의 도시' 목포의 자랑인 맛집과도 연결되는 도보 관광 길 조성을 통해 '다시 찾고 머물고 싶은 도시'로 만들겠다는 것이 해변맛길사업에 대한 시의 구상이다.

시는 앞으로 나머지 구간에 대한 사업을 지속해서 추진해 관광 거점 도시사업과 시너지를 일으킬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해변맛길은 관광 거점 도시이자 예비문화도시인 목포의 매력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이라며 "바다와 자연을 벗 삼아 걸으면서 근대역사문화도 경험하고 곳곳에서 맛있는 식사도 할 수 있는 도시로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끝)

출처 : 목포시청 보도자료

Copyright © 연합뉴스 보도자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