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文, 천안함 입장 밝혀라" 생존장병 16명 현충원 시위

김상진 2021. 6. 6. 12: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文대통령 참석 추념식, 생존장병 16명 시위 나서
"같은 배에서 사고 겼었는데 'PTSD' 인정 고무줄"
"국가유공자 통과 13명, 아직도 20명 심사 대기"
"보훈처 앞서 피켓 들었더니 '경찰 기동대' 불러"

천안함 생존 예비역 장병들이 6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현충일 추념식이 거행된 국립서울현충원 안팎에 흩어져 1인 시위에 나섰다. 이번 시위에는 최원일 전 천안함 함장을 포함해 전국에서 상경한 생존 장병 16명이 참여했다. 이들 손에는 “천안함 폭침에 대한 대통령의 입장을 명확히 밝혀라”는 내용의 피켓이 들렸다.

최원일 전 천안함 함장이 현충일인 6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 정문 앞에서 1인 피켓 시위를 하고 있다. 이날 천안함 생존 장병 16명은 현충원 안팎에 흩어져 시위를 진행했다. [사진 최원일 전 천안함 함장]

이날 현충원 정문 앞에서 피켓을 든 최 전 함장은 중앙일보에 “어제(5일) 뒤늦게 시위 소식을 알게 된 국방부와 국가보훈처에서 시위 중단을 강력히 요구해왔다”며 “그런 데도 시위를 강행하게 된 것은 그만큼 우리 전우들의 명예회복이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 직속 군사망사고 진상규명위원회의) ‘천안함 재조사’ 사건 이후 꾸준히 관련자 처벌 및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요구했지만, 두 달 넘게 청와대·국방부 등 어디서도 답변이 없었다”며 “이뿐만 아니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시달리는 우리 전우들이 국가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하는 현실 역시 현충일 시위에 나서게 된 큰 원인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최 전 함장은 국가유공자 심사를 둘러싼 정부 측의 태도를 비판했다. 생존 장병 58명 중 현역을 제외한 예비역 34명 가운데 국가유공자로 인정받는 사람은 현재 13명에 그치기 때문이다.

최 전 함장은 “1인당 국가유공자 심사에 평균 14개월이 걸리는데 그마저도 통과한 전우들 얘기”라며 “천안함 사건 이후 11년이 지났는데도 국가유공자 심사 대기자가 아직도 20명(현재 심사 중인 2명 포함)이 남았다”고 토로했다. 이어 “지난달 18일 김윤일 병장은 PTSD를 인정받지 못하고 심사에서 떨어졌는데, 바로 이튿날 배성모 하사가 PTSD로 유공자 7급 판정을 받았다”며 “같은 배에서 같은 사고를 당했는데, 국가유공자 심사에 결정적인 PTSD 인정 여부가 고무줄인 게 말이 되느냐”고 반문했다.

6일 오전 현충일 추념식이 거행된 국립서울현충원에서 1인 피켓 시위를 벌인 최원일 전 천안함 함장 등 생존 장병 16명이 시위를 마치고 현충탑 앞에서 호국 영령을 추모하고 있다.(왼쪽 사진) 오른쪽은 현충탑 앞에 놓인 문재인 대통령의 조화 옆에 이날 시위에 사용한 피켓을 놓은 모습. 피켓에는 "천안함 폭침에 대한 대통령의 입장을 명확히 밝혀라"라는 내용이 적혀 있다. [사진 최원일 전 천안함 함장]

또 그는 “지난 4일 세종시 보훈처 앞에서 이런 전우들의 처지에 항의하는 피켓 시위를 묵묵히 했더니 책임 있는 사람들이 우리를 만나주기는커녕 경찰 기동대를 불러 배치하더라”라며 씁쓸해했다. 최 전 함장은 “결국 현충일에는 전사한 전우들을 볼 낯이 없어 이날 미리 대전현충원에서 인사를 했다”며 “오늘은 우리를 무시하고 만나주지 않는 그들을 보기 위해 이렇게 서게 됐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국가보훈처는 6일 "같은 사고가 있었다 하더라도, PTSD 등 질환의 발현이 해당 사고로 인해 발현됐는지 여부가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며 "보훈 심사는 한번으로 종결되는 것이 아니고, 언제든지 다시 신청해 심사를 받을 수 있다"고 해명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날 현충일 추념사를 통해 “국가유공자에 대한 진정한 보훈이야말로 애국심의 원천”이라고 말했다.

김상진ㆍ박용한 기자 kine3@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