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군 '제54회 단종문화제' 온·오프라인 병행, 성공적으로 개최

2021. 5. 14. 16: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월군이 주최하고 재단법인 영월문화재단이 주관하는 2021 제54회 단종문화제가 04월 30일(금)부터 05월 02일(일)까지 3일간 온·오프라인을 병행하여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제54회 단종문화제 주 행사는 영월문화예술회관 공연장과 아르코공연연습센터@영월에 단종문화제 온라인 스튜디오를 꾸려 유튜브와 영서방송으로 영상을 송출하는 언택트 방식으로 새롭게 진행되었다. 단종문화제 유튜브는 올해 새롭게 개설하여 단종문화제 기간 동안 총 조회수 40만 회를 돌파했다.

진행 프로그램으로는 단종제향, 단종문화제 개막식, 단종국장 재현 역사스페셜, 정순왕후 선발대회, 집에서 하는 단종 역사 퀴즈쇼, 나만의 궁중요리 레시피, 신병주 교수와 함께하는 ‘단종의 역사’, 온택트 영월지역예술인공연, 단종문화제 특별 전시행사, 단종문화제 학술 심포지엄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진행되었다.

제54회 단종문화제 개막식은 4월 30일 19시 유튜브와 영서방송을 통하여 송출되었으며 누적 조회수 445,000회를 기록하였다, 개막식은 영월 군민들의 온택트 합창으로 진행되는 ‘사랑으로’와 단종 관련 퍼포먼스 공연이 펼쳐져 시청자들에게 감동을 선사하였다.

제54회 단종문화제의 상징적 행사인 단종제향은 5월 1일 오전 10시부터 장릉에서 오프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동시에 유튜브와 영서방송으로 송출되었다. 단종제향은 제향행사, 헌다례, 능말도깨비놀이 순으로 진행되었다.

단종국장 재현 행사는 실제 재현되는 장면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도록 ‘단종국장 역사스페셜’ 토크쇼를 진행하였으며, 단종문화제 유튜브와 영서방송으로 송출하였다.

단종의 비, 정순왕후의 정신을 기리는 정순왕후 선발대회는 본선부터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던 프로그램이었으나 안전한 단종문화제를 위해 서류 및 영상 심사를 통하여 최종 6인을 선정하고 최종 후보자들만 현장 본선 경연을 진행하였다. 정순왕후 선발대회는 4월 30일 15시에 단종문화제 유튜브를 통하여 송출되어 전국의 많은 시청자와 함께하였다.

제54회 단종문화제는 온라인으로 참여와 시청이 가능한 다양한 신규 프로그램들을 신설하였다. 그 중 나만의 궁중요리 레시피 콘테스트는 누구나 따라 하기 쉬운 궁중음식 레시피를 사전 접수 및 심사를 통해 선정된 1위 수상자(이엘레나)와 요리 전문가이자 인플루언서인 이보은씨가 함께 실시간으로 요리하는 콘텐츠로 진행되었다. 1위 레시피는 ‘초조반(初潮飯)’이라는 이름으로 아침에 먹는 밥이라는 뜻을 가진 궁중요리였다. 두부선, 두부애호박찜, 밤현미찹쌀죽, 양념가지구이, 빈자병 등이 소개되었으며, 음식 완성 후 시식까지 진행되었다.

이 외에도 집에서 하는 단종 역사 퀴즈쇼는 선착순 100팀을 선발해 화상회의 플랫폼 ‘ZOOM’과 ‘퀴즈앤’을 활용하여 진행되었으며 1위를 수상한 팀에게는 70만원의 상금이 지급되었고, 랜덤 추첨을 통해 16팀에게 문화상품권이 지급되었다. 또한 건국대학교 사학과 신병주 교수와 함께하는 ‘단종의 역사’ 프로그램이 단종문화제 공식 유튜브를 통해 5월 2일에 송출되었다.

그 외에도 단종문화제를 기념하여 우표, 수석, 서예, 미술, 서각, 꽃차 전시가 단종문화제 홈페이지를 통해 연결되는 사이버 갤러리를 통해 온라인 전시가 진행되었으며, 단종문화제가 끝나는 날인 5월 2일까지 영월문화예술회관을 방문하는 오프라인 관람이 동시에 이루어졌다. 또한, 05월 01일(토) 14시, 05월 02일(일) 15시 총 2차례에 걸쳐 영월 지역예술인들의 다양한 공연이 단종문화제 유튜브를 통하여 송출되었으며, 축제 기간 중 매일 밤 관광도시 영월을 알리고, 단종문화제를 기억에 남게 해 줄 ‘드론 라이트쇼’가 단종문화제 유튜브를 통하여 펼쳐져 화려한 볼거리를 제공하였다.

제54회 단종문화제는 온라인 스튜디오를 통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행사 기간 내내 송출하여 시청자들에게 단종의 발자취를 느낄 수 있었으며, 문화 및 교육적으로 유익하였다고 많은 호평을 받았다.

온라인 중앙일보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