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 반암리서 국내 가장 이른 시기 '청자가마' 확인

김영재 2021. 5. 14. 15:1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벽돌가마'와 '진흙가마' 중첩되는 가마터, 초기청자 전개과정 밝힐 열쇠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 발굴조사 현장

[쿠키뉴스] 김영재 기자 =전북 고창군이 반암리에서 우리나라 청자의 도입과 전개과정을 엿볼 수 있는 초기청자가마터가 확인됐다고 14일 밝혔다.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는 지난해 문화재청 긴급발굴조사 지원사업을 통해 벽돌가마 1기와 진흙가마 3기, 퇴적구릉, 건물지 등이 일부 확인됐다.

이에 올해 (재)조선문화유산연구원(원장 이택구)에서 가마터의 성격과 범위 등을 규명하기 위해 발굴조사를 추진해 조사결과 조사범위 내에서 벽돌가마(전축요) 1기, 진흙가마(토축요) 4기, 건물지 2동을 확인했다. 

벽돌가마는 지난해 문화재청 긴급발굴조사를 통해 후대의 진흙가마와 중복돼 단면상에서 일부 흔적이 확인됐으나, 올해 발굴조사에서는 조사범위 가장 윗부분에서 가마의 소성부(燒成部, 그릇을 두는 곳)와 연도부(燒成部, 연기가 빠져나가는 곳)가 확인됐다.
 
노출된 벽돌가마는 길이 7.8m, 너비 2.7m, 바닥경사도 10° 내외로, 가마 축조는 구지표층을 사선으로 굴광한 다음 벽돌을 눕혀쌓기 했다. 가마 축조에 사용된 벽돌은 잔존 7단 정도이고, 3회 정도 개축해 운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진흙가마(2호~5호)는 총 4기가 확인됐다. 2호가마는 3~5호가마와 중첩돼 존재만 파악됐고, 4호가마가 폐기된 이후 5호가마가 만들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진흙가마는 부분적으로 결실됐으나 규모와 구조에서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길이 10~12m, 너비 1.5~1.9m 정도이며, 화구(火口)는 석재를 4~5매 쌓은 후 양쪽에 기다란 석재를 세워서 축조했다. 불턱이 없어 연소부와 소성부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으나 연소부에서 폭이 줄어들다가 소성부는 약간 넓어지는 양상이다. 

건물지는 2기가 확인됐고 조사구역 외곽까지 확장된다. 이중 1호건물지는 3호가마에서 경사면 아래쪽으로 1.7m 정도 떨어져 자리하며 기단석렬과 적심석, 초석(礎石, 주춧돌) 등이 일부 노출됐다. 건물의 규모는 정면 3칸으로 추정되며, 주간거리는 2.7m 내외로 파악됐다.

유물은 청자, 갑발, 도기, 기와 파편 등이 출토됐다. 청자는 해무리굽 완이 다수를 차지하고, 독립문형 청자와 화판형 접시, 잔, 주자, 호 등도 소량 확인됐다. 

갑발(匣鉢, 불길과 재 등이 청자에 직접 닿지 않도록 청자 위에 씌우기 위해 점토로 만든 그릇)은 발형과 복발형, 원통형 등이고, 갑발 받침과 뚜껑도 확인됐다. 특히 갑발 바닥과 옆면에서는 특수한 형태의 문양(부호)이 확인돼 눈길을 끈다.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고창에 초기청자를 생산하는 벽돌가마의 명확한 존재와 축조기법이 밝혀졌다. 벽돌가마는 고려 수도인 개경(開京) 중심의 중부지역에서 주로 발견됐고, 최근 진안 도통리에서도 벽돌가마를 조사해 사적으로 지정됐다. 따라서 이번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에서 잔존상태가 양호한 벽돌가마가 명확히 확인됨에 따라 사적 등 문화재 지정 가치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에서는 벽돌가마 이후에 축조되는 진흙가마도 4기가 조사돼 우리나라 청자의 도입과 전개과정을 한눈에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협소한 조사범위 내 5기의 초기청자 가마가 중첩 축조된 양상은 아직 국내 보고된 사례가 거의 없다. 

또 기존 긴급발굴조사를 통해 반암리 청자요지에 적어도 2기 이상의 진흙가마가 더 축조된 양상이 확인돼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가 초기청자 중심 생산지였던 것으로 유추된다. 

이에 더해 구릉의 하단부에서 대형 건물지가 확인됐다. 특히 1호건물지는 확인된 길이만 31m에 달하며, 이는 초기청자 생산과 관련된 공방 또는 감독관리시설로 판단된다. 

이종민 충북대교수(문화재청 문화재위원)는 “초기청자가마로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하고 벽돌가마에서 진흙가마로의 변화양상이 명확히 확인되는 등 우리나라에서 매우 보기 드문 유적이다”며 “10세기 후반경부터 오랫동안 운영됐고 대형 건물지까지 확인돼 추가조사 등을 통해 사적 지정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유기상 고창군수는 “반암리 청자요지 일원은 고창 용계리 청자요지(사적), 고창 분청사기 요지(사적), 고창 용산리 분청사기요지(도기념물) 등 다수의 가마터가 밀집 분포해 우리나라 도자 문화의 중심지로 인정받고 있다”며 “특히 고창 반암리 청자가마터를 통해 초기청자의 발생과 변화과정, 생산공정, 관리체계까지 밝힐 수 있는 중요 자료로 조사결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jump0220@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