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반도체, 초격차 '올인'..특별법 만든다

임원식 기자 2021. 5. 13. 17:3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반도체 벨트' 완성..공급망 안정화
R&D·시설투자 '최대 50%' 세액공제
파운드리·패키징 짓는데 1조원 지원
10년간 반도체 인력 3만6천명 육성

[한국경제TV 임원식 기자]

<앵커>

글로벌 반도체 패권을 잡기 위한 국가간 경쟁이 뜨겁습니다.

미래 산업을 주도할 전략무기로 불리며 반도체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기 때문인데요.

우리 정부도 종합 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대대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먼저 임원식 기자입니다.

<기자>

판교를 시작으로 화성과 기흥, 평택을 거쳐 온양에 이르기까지. 또 이천에서 출발해 용인을 찍고 괴산, 청주로 향하는 라인.

이른바 `K-반도체 벨트` 입니다.

종합 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첫 번째 전략은 바로 이 K-반도체 벨트의 완성입니다.

기존의 메모리 반도체는 물론 파운드리와 첨단장비, 패키징과 팹리스에 이르기까지,

타의 추종을 불허할 만큼 압도적인 반도체 공급망부터 갖추겠다는 의지에섭니다.

`반도체 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기 위한 파격적인 세제 혜택도 내걸었습니다.

삼성전자 등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앞으로 10년 동안 510조 원 가량을 투자할 계획인데, R&D 투자는 최대 50%, 시설 투자는 최대 20%까지 세액 공제 혜택을 받게 됩니다.

8인치 파운드리 증설과 첨단 패키징 시설을 짓기 위한 특별 자금도 1조 원 이상 마련됐습니다.

또 화학물질 취급과 수입용기 검사, 방호벽 설치 등의 제조시설 규제들을 완화하는 한편

반도체 용수물량 10년치를 확보하고 한국전력과 함께 송전선로도 50%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강경성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 : (반도체) 기업들이 반도체 투자에 필요한 세금 지원과 인력, 인프라 지원을 많이 요청했습니다. 이에 정부가 대기업을 포함해 세액 공제를 5배 이상 높였고요. 송전선로 등 기반시설도 국비로 지원하기로...]

반도체산업 인력과 차세대 기술 확보를 위한 지원에도 나섰습니다.

대학 내 정원 조정과 학과 신설을 통해 반도체 전공자를 늘리는 등 10년 동안 3만6천 명을 육성하고 전후방 산업을 연계해 반도체 내수를 키우기로 했습니다.

또 AI 반도체와 첨단 센서 등을 개발하기 위한 기반 구축에 1조 5천억 원 이상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정부는 앞으로 10년 뒤 반도체 수출액이 지금의 2배인 2천억 달러에 이르고 일자리는 27만 개가 더 생길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한국경제TV 임원식입니다.
임원식 기자 ryan@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