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왕도, 요부도 초상화로 이미지 정치..시대의 얼굴들

손영옥 2021. 5. 13. 15:0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 '시대의 얼굴'전

스페인 무적함대를 격파하며 세계사를 다시 쓴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1세(1533∼1603)는 1558년 스물다섯 나이에 왕위에 올랐다. 재위 45년간 잉글랜드를 극빈국에서 유럽 최강국으로 끌어올렸다. 그는 통치만 잘한 게 아니라 이미지 정치에도 능했다. 초상화를 통해서다. 영국 국립초상화미술관이 소장한 초상화 속 여왕은 당시 42세. 하지만 나이를 가늠할 수 없는 초월적인 이미지로 표현되도록 여러 장치를 쓰게 했다. 펜던트의 불사조 문양은 영원불멸의 권위를, 튜더 왕조의 상징인 장미꽃은 자신이 적통임을 세상에 웅변한다. 또 순결의 상징인 진주로 무수히 장식해 ‘처녀 여왕’의 이미지를 한껏 강조한다.

엘리자베스 1세.

영국 국립초상화미술관 명품 컬렉션이 한국에서 처음 공개됐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하는 “시대의 얼굴, 셰익스피어에서 에드 시런까지”에서다. 1856년 개관한 국립초상화미술관 소장 초상화 78점이 나왔다. 통치자였던 엘리자베스 여왕을 비롯해 극작가 셰익스피어(1564∼1616),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한 과학자 아이작 뉴턴(1642∼1727), 진화론자 찰스 다윈(1809∼1882), 소설가 찰스 디킨스(1812∼1870), 최연소 노벨상 수상자 말랄라 유사프자이(24)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가를 이룬 역사 속 인물들의 초상화를 만날 수 있다. 그 범위는 500년에 걸쳐 있다. 나무판에 그려진 유화 초상화에서 홀로그램 초상화까지 당대 최고의 기술로 그려진 시대의 얼굴들이 나왔다.

찰스 1세의 정부였던 여배우 넬 귄.

전시에서 흥미로운 부분은 권력과 이미지 정치다. 오늘날 사진이 그런 것처럼 초상화 역시 정치인들이 이미지를 ‘조작’하는 데 활용했던 수단이었다. 엘리자베스 1세가 그랬던 것처럼 말이다. 엘리자베스 1세 초상화의 뒷면을 X선으로 투과시키면 젊은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 눈, 코가 본래의 위치보다 위로 수정됐음을 알 수 있다.

영국 팝가수 에드 시런의 초상화. 공연하는 모습이 아니라 약간 우수에 젖은 모습으로 자신의 이미지를 주문했다.

초상화를 통한 이미지 연출은 당대의 ‘셀럽들’도 마찬가지였다. 구두쇠 스크루지 영감이 나오는 ‘크리스마스 캐럴’로 잘 알려진 소설가 찰스 디킨스는 20대에 필명을 날리기 시작했다. 그는 이때부터 자신의 꽃미남 초상화를 판화로 제작해 출간하는 소설책에 함께 넣음으로써 팬덤을 일으켰다. 17세기 영국 왕 찰스 1세(1600∼1649)의 정부였던 여배우 넬 귄(1651∼1687)도 만만찮았다. 빈민 출신인 그녀는 화가들이 가장 섹슈얼한 이미지로 자신을 그리게 함으로써 뭇 남성을 울렸고 마침내 왕의 마음마저 사로잡았다.

영국 판 명예의 전당이라고 할 수 있는 국립초상화미술관의 초상화 수집 기준은 어떠했을까. 처음엔 각 분야에서 탁월한 성취를 이루고 사회에 공헌한 인물들이 선정됐다. 그러나 여기에는 주류 사회의 편견이 깔려있다는 비판에 직면했고, 이에 21세기 들어서는 사회의 소수자도 선정 대상으로 포함되기에 이른다. 이를테면 ‘흑인 나이팅게일’로 불렸던 간호사 메리 시콜(1805∼1881)은 당대에는 이 미술관에 입성하지 못했다. 하지만 시대가 바뀌어 시대정신이 달라짐에 따라 뒤늦게 그의 초상화는 미술관에 걸릴 수 있게 됐다. 여성 참정권 운동가였던 화가 루이스 조플링(1843∼1933)도 그런 맥락에 따라 이 미술관에 입성했다. 그는 여성도 남성 누드모델을 그릴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해 당대 미술계에 파문을 일으킨 주인공이기도 했다. 그런 훈련을 받아야 인기 장르였던 역사화를 그릴 수 있었지만, 여성은 그런 기회에서 배제되던 시대였다. 오랫동안 천장에 구겨진 채 쳐박혀 있다 나온 소설가 샤롯 브론테(1816∼1855)·에밀리 브론테(1818∼1848) 자매들의 초상화는 눈물겹다.

브론테 자매들의 초상화.

비교해서 보는 재미도 있다. 1960년대 세계적인 록 밴드 비틀스와 그들을 잇는 요즘의 세계적인 영국 팝가수 에드 시런(30), 당대 최고의 배우 오드리 헵번과 엘리자베스 테일러, 정치 숙적 올리버 크롬웰(1599∼1658)과 찰스 1세 등이 그런 예이다.

데이비드 호크니 자화상.

17세기 바로크의 거장 페테르 파울 루벤스(1577∼1640), 초상화의 대가 조슈아 레이놀즈(1723∼1792), 빛의 화가 존 컨스터블(1776∼1837), 20세기 팝아티스트 앤디 워홀, 21세기인 요즘 상한가를 치는 데이비드 호크니(84) 등 세계 회화사 거장들의 작품도 나왔다. 금박 액자에 걸린 고전주의 초상화만 나왔다면 자칫 단조로울 수 있지만, 이처럼 시대가 바뀌며 양식도 달라진 다양한 초상화가 나와 시각적 즐거움을 준다. 바로크에서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 팝아트 등 회화사의 맥락에서 초상화 제작기법이 어떻게 변했는지도 살펴볼 좋은 기회다. 전시 공간은 크지 않지만 ‘명성’ ‘권력’ ‘사랑과 상실’ ‘혁신’, ‘정체성과 자화상’이라는 다섯 가지 주제로 구성해 밀도가 높다. 8월 15일까지.

손영옥 문화전문기자 yosoh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