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리더]서만수 에스제이코레 대표 "추억의 국떡, 트렌드를 선도하는 브랜드될 것"

유현석 2021. 5. 13. 11: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행은 변하지만 원조는 바뀌지 않습니다. '추억의 국민학교 떡볶이'와 같은 트렌드를 선도하는 제품들을 내놓으면서 꾸준히 성장하겠습니다."

추억의 국민학교 떡볶이(이하 '국떡') 브랜드로 유명한 에스제이코레의 서만수 대표는 아시아경제와 한 인터뷰에서 이 같은 목표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유현석 기자] "유행은 변하지만 원조는 바뀌지 않습니다. ‘추억의 국민학교 떡볶이’와 같은 트렌드를 선도하는 제품들을 내놓으면서 꾸준히 성장하겠습니다."

추억의 국민학교 떡볶이(이하 ‘국떡’) 브랜드로 유명한 에스제이코레의 서만수 대표는 아시아경제와 한 인터뷰에서 이 같은 목표를 밝혔다.

에스제이코레는 2013년에 설립된 떡볶이 제조를 주력으로 하는 간편가정식(HMR) 전문기업이다. 본사와 공장은 경상북도 구미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울시 강남구에 영업소가 있다.

국떡은 2013년에 출시됐다. 시장에 나온 뒤 꾸준하게 사랑을 받으면서 전세계 30여개국에 팔리고 있는 상품. 출시 이후 지난달까지 제품 누적 수출액만 1500만달러를 기록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도 쿠팡이나 G마켓, 11번가 등에서 떡볶이 분야 판매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서 대표는 국떡의 성공비결을 기존 제품들과의 차별화라고 말했다. 2012년 제품 기획 당시 ‘감성을 자극하는 먹거리, 이야기가 있는 간식’을 콘셉트로 방향을 잡고, 어린 시절 학교 앞 포장마차에서 먹던 떡볶이를 상품화하기로 했다.

그는 "당시 시중의 떡볶이 제품들은 모두 쌀떡과 소스로 구성됐었다"며 "국떡은 쌀떡을 말랑한 밀떡으로 바꾸고 밀떡과 잘 어울리는 국물소스에 어묵까지 함께 포장된 최초의 밀떡 패키지로 구성했으며 포장도 도시락 느낌의 용기에 담는 등 여러 차별화 포인트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국떡은 해외에서도 주목받고 있는 제품이다. 전체 매출에서 45%가 수출을 통해서 일어나고 있다. 서 대표는 해외 수출을 마음먹은 계기를 외국인의 선호도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그는 "제품이 인기를 끌던 와중 여러 업체들이 우리 제품을 카피해 내놓으면서 시장에 비슷한 제품이 많이 나왔을 때 위기의식을 느꼈다"며 "신문기사에서 우리나라에 방문했던 외국인들이 가장 다시 먹고 싶어하는 음식이 떡볶이라는 것을 보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해외 진출에 나서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해외 출장이 많은 해는 20번 가까이 갈 정도로 다른 시장을 뚫기 위해 노력했다. 결국 미국의 재외교포가 만든 한인마트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으면서 다른 시장으로 확대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에스제이코레는 2018년 기준 58억원에 16억원이었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2019년 77억원과 25억원으로 늘었으며 지난해는 108억원에 32억원을 달성했다. 오는 8월 공장 증설을 통해 연간 생산액을 100억원에서 250억~300억원까지 늘릴 계획이다.

올해는 유럽이나 동남아시아 등 기존에 도전 못했던 시장으로 확대하겠다는 전략이다. 서 대표는 "유럽은 절차나 과정이 복잡하고 까다로운데 하나씩 지금 통과하고 있는 과정으로 하반기 공략하는 것이 목표"라며 "동남아시아도 과거 콜드체인 부분의 부족으로 적극적으로 하지 못했지만 이제는 가능한 만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서 대표는 전세계에 ‘국떡’을 팔겠다는 것이 목표다. 그는 "과거 스위스에 출장 갔을 때 융프라우에 올라가 본 적이 있는데 거기 있는 매장에서 한국 라면을 팔고 있었다"며 "그곳에 라면이 팔리는 것처럼 우리 ‘국떡’도 세계 모든 마켓에서 손쉽게 만나게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현석 기자 guspower@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