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라카미 하루키가 늘 티셔츠 차림인 이유

김남중 2021. 5. 11. 16: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무라카미 하루키의 새 책이 찾아왔다.

가지고 있는 티셔츠들에 대한 사연을 쓰고, 그 글들이 묶여 책이 되고 베스트셀러가 되니 하루키의 인기는 여전히 대단하다.

하루키가 티셔츠에 대해 얘기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하루키는 이 책에서 집에 있는 티셔츠들을 꺼내놓고 거기에 얽힌 사연들을 들려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평생 사랑해온 티셔츠들에 대한 에세이집 '무라카미 T'

올해도 어김없이 무라카미 하루키의 새 책이 찾아왔다. 이번엔 티셔츠 얘기다. 지난해 3월까지 1년 반 동안 일본 잡지 ‘뽀빠이’에 연재한 글들이다. 가지고 있는 티셔츠들에 대한 사연을 쓰고, 그 글들이 묶여 책이 되고 베스트셀러가 되니 하루키의 인기는 여전히 대단하다.

“여름에는 오로지 티셔츠죠. 그 외에 입을 옷이 없을 정도로. 가끔 알로하셔츠도 입긴 하지만, 거의 티셔츠에 반바지.”

슈트 차림의 하루키는 낯설다. 그는 어디서나 티셔츠 차림이다. 하루키는 골프도 안 친다. 마라톤을 하고 야구를 본다. 비싼 시계나 자동차에도 관심이 없다. 대신 음반을 사모으고, 맥주나 위스키를 마신다.

하루키는 그동안 마라톤이나 음악, 위스키, 여행 등을 주제로 에세이집들을 발표해 왔다. 오랫동안 사랑해온 것들을 소재로 한 하루키의 에세이는 그의 소설만큼이나 사랑을 받고 있다.

하루키가 티셔츠에 대해 얘기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렇다고 그가 티셔츠를 수집해온 것은 아니다. 싸고 예뻐서 사고, 여기저기 다니면서 기념 삼아 사고, 마라톤 대회에서 받고, 책 홍보용으로 제작된 것들을 받다보니 어느새 집에 쌓이게 되었다고 한다.

하루키는 이 책에서 집에 있는 티셔츠들을 꺼내놓고 거기에 얽힌 사연들을 들려준다. 70대 노작가의 티셔츠 예찬론인 셈인데 조금도 어색하지 않다. 아무리 나이가 들었어도 하루키가 여전히 가장 스타일리시한 작가라는 점을 입증한다.

하루키는 책머리에 “마음에 들어 하는 낡은 티셔츠를 펼쳐놓은 뒤 사진을 찍고 거기에 관해 짧은 글을 쓴 것뿐이어서, 이런 책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것 같지는 않다”면서도 “이 사소한 컬렉션을 그런대로 즐겨주었으면 한다”고 썼다.

하지만 그 티셔츠들엔 하루키의 생활과 취향, 역사가 고스란히 묻어 있다. 티셔츠는 그래서 ‘하루키 스타일’을 구성하는 또 하나의 키워드가 된다.

무라카미 하루키. 무라카미 하루키 페이스북 캡처

하루키의 에세이에는 세상을 두루 돌아다니며 많은 경험을 한, 나이는 꽤 있지만 지루하지 않은 아저씨 한 명이 앞에 앉아 이야기를 들려주는 듯한 분위기가 있다.

하루키는 혼자 얘기를 해나가다 가끔씩 독자 혹은 타인을 향해 말을 걸기도 한다. 이때는 문장도 존대말로 바뀐다. “예전에 미국 영화관에서 ‘매드맥스 2’를 볼 때, 앞 자리에 펑크 머리를 한 사람이 앉아서 화면이 잘 보이지 않았다”라고 쓴 후 “딱히 그런 헤어스타일을 한 사람한테 편견은 없지만 영화관에서는 좀 난감하더군요”라고 이어가는 식이다. 독자들은 “아, 그러겠네요” 하면서 다음 얘기에 귀를 기울이게 된다.

퇴근 후 잠들기 전, 방의 조도를 낮추고 소파나 침대에 몸을 기댄 채 시원한 맥주를 홀짝홀짝 마시는 시간. TV나 휴대전화를 쳐다볼 수 있겠지만 하루키 에세이집이야말로 그 시간에 잘 어울린다. 수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하루키를 읽는 것은 그의 글을 읽는 시간이 무엇보다 즐겁기 때문이 아닐까.

김남중 선임기자 njkim@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