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아리랑' 십자(十)의 진리 그리고 인간의 도리

국중성(아리랑연구가) 2021. 4. 26. 09: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리랑은 우리 민족의 애환과 정서가 담긴 민족의 노래로 이어왔다.

그 뜻은 곧 하늘이 내린 인간의 도리(道理)라 하여 "도리, 도리" 하며 고갯짓을 시켜왔고, 성년이 되어서는 아 자 속의 십자의 진리를 떠나서는 십리(十裏:십자의 속)도 못가고 발병(發病:병이 남)이 난다는 은유적인 가사로 구비전승되어온 이것이 아리랑이었던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리랑연구가 국중성 "'진리를 떠나서 십리도 못간다'가 노래의 본질"

아리랑은 우리 민족의 애환과 정서가 담긴 민족의 노래로 이어왔다. 그런데 그 노랫말이 어디서 나왔으며 그 뜻이 뭔지 이에 뜻이 있는 분들께 일고라도 될까 하여 대략을 소개하고자 한다.

요즈음 역(易)을 말하면 때 지난 옛것으로 치부할지 모르나 이는 우리 고유한 정신문화의 본 모습은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할 것이다. ‘하도(河圖)’의 ‘수리(數理)’에 의하면 천체우주 만상이 존재하는 과정은 1에서 9까지 이루는 과정을 거쳐 10에서 완성이 된다는 것이다.

서울 민속박물관 마당에서 펼쳐진 '정선아리랑' 공연. 2017년 1월 자료 사진. 곽경근 기자

그 과정의 행로는 수많은 고난의 역정을 거쳐야 10(十)에서 완성이 된다 하는 이것은 천지자연의 순환질서요 법칙으로서 10이라는 수는 숫자의 끝이요 그다음에 오는 수는 1로부터 새로운 시작이 되므로 이것이 쉼 없이 전개되는 것은 태극의 순환법칙이요 하늘의 도라 하였다.

이 태극을 상형화한 도문이 한문 글자인 아(亞)자 모양으로서 그 속에는 십자가 있다는 뜻에서 십자(十) 논리가 형성되었다. 그 십자(태극)의 진리에 이르기 위해서는 고난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그 뜻을 글자풀이로 하여 아(亞)자 속에(裏:속리) 이르기 위해서는 고개와 고개를 (嶺:고개 령) 넘어야 한다는 이 세 글자를 합하여 아리령(亞裏嶺)이라 했다.

이같이 광대무변한 태극 사상을 적용하여 대중에 파급시킨 것은 조선 중기 남사고의 ‘격암유록’이 처음이었다. 그가 전한 형식을 보면 아 자를 파자하여 궁(弓)자 둘이 서로 등을 맞대면 아 자가 된다는 의미에서 가사체로 노래를 지어 불렀는데 우리가 어릴 때 할아버지 품에 안겨서 “짝짜꿍(弓), 짝작궁(弓)”을 부르게 하였다.

그 뜻은 곧 하늘이 내린 인간의 도리(道理)라 하여 “도리, 도리” 하며 고갯짓을 시켜왔고, 성년이 되어서는 아 자 속의 십자의 진리를 떠나서는 십리(十裏:십자의 속)도 못가고 발병(發病:병이 남)이 난다는 은유적인 가사로 구비전승되어온 이것이 아리랑이었던 것이다.

하도가 중국에서 건너온 낯선 학문이었으나 우리의 생활 풍토에서 여과의 세월을 거쳐 아리령의 고개를 넘어 아리랑으로 승화되었다.

국중성(아리랑연구가) 5774ch@daum.net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