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시진핑 기후회의 참석 맞춰 '중국 역할론' 띄우기

권지혜 2021. 4. 22. 16: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은 시진핑 국가주석의 22일 기후 정상회의 참석에 맞춰 '중국 역할론'을 띄우고 있다.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미·중 협력보다는 중국의 리더십을 부각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분위기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영국 싱크탱크의 분석을 인용해 "미국과 중국이 기후 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설정했다"며 "우리는 세계 기후 리더십 경쟁의 시작을 지켜보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은 무엇보다 미국이 기후 대응에 있어 일관된 태도를 유지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 의제, 다른 나라에 강요하는 것 반대"
미·중 협력보다 中 리더십 부각에 방점
"세계 기후 리더십 경쟁 시작" 분석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0일 하이난성에서 열린 보아오 포럼 개막식에서 화상으로 기조연설을 하는 모습이 미디어센터에 설치된 대형 스크린에 나오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중국은 시진핑 국가주석의 22일 기후 정상회의 참석에 맞춰 ‘중국 역할론’을 띄우고 있다.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미·중 협력보다는 중국의 리더십을 부각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분위기다. 미국과 중국이 서로 협력 분야로 꼽은 기후 문제에서조차 주도권 경쟁이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관영 매체는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주최하는 정상회의에 시 주석이 참석하는 것이 미국 주도 캠페인에 끌려가는 게 아니라고 연일 강조하고 있다. 글로벌타임스는 “중국과 러시아는 미국의 기후변화 의제를 다른 나라에 강요하는 어떠한 형태의 패권이나 강압에 단호히 반대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영국 싱크탱크의 분석을 인용해 “미국과 중국이 기후 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설정했다”며 “우리는 세계 기후 리더십 경쟁의 시작을 지켜보고 있다”고 전했다.

시 주석은 지난 20일 하이난성에서 열린 보아오 포럼 개막식 화상 연설에서 “한 국가나 몇몇 국가가 제정한 규칙을 다른 나라에 강요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기후 정상회의에 연설에서 이러한 메시지를 더욱 분명히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시 주석은 존 케리 미 대통령 기후특사가 중국 상하이를 방문했던 지난 16일에는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화상 회의를 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도 “기후변화 대응은 전 인류의 공동 사업인 만큼 지정학적 흥정거리나 타국을 공격하는 표적, 무역장벽의 빌미가 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를 두고 홍콩 명보는 “시 주석이 3자 정상회의를 통해 바이든 대통령의 기후정상회의에 대한 관심을 가로챘다”고 평가했다.

중국은 2030년 탄소 배출량 정점을 찍은 뒤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실현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러한 목표와 로드맵에 따라 주도적으로 기후 문제를 풀어간다는 방침이다. 탄소 중립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개념이다. 숲을 조성해 산소를 공급하거나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재생에너지 분야에 투자하는 방법 등이 있다.

왕이웨이 중국 인민대 유럽문제연구소장은 환구시보에 “미국은 중국에 탄소 배출 감축 시기를 더 앞당기도록 압박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바이든 대통령은 파리 기후변화협정의 목표치를 다시 잡고 개발도상국도 배출량 감축에 더 박차를 가하도록 압박하겠다는 의도를 내비치고 있다”고 말했다. 파리협정은 2015년 12월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195개국이 채택했다.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 수준 대비 2℃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온실가스 배출량을 단계적으로 감축하는 내용이다.

중국은 무엇보다 미국이 기후 대응에 있어 일관된 태도를 유지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미국은 현재 우위를 갖고 있는 생산 방식과 생활 양식을 크게 바꾸고 싶어하지 않는데다 정부에 따라 정책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2017년 6월 파리협정 탈퇴를 선언했고, 바이든 대통령은 2021년 1월 취임 첫날 파리협정 복귀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왕 소장은 “바이든 대통령은 자신을 지지한 신재생에너지 기업을 중심으로 정책을 펼쳤다”며 “미국 내 이익단체간 갈등은 미국이 변화를 주도하는 데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