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다 하루 31만명 확진 '코로나 지옥'된 인도

정우진 2021. 4. 22. 16: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 신규 감염자의 40%가 인도
변이 바이러스에 '노마스크' 축제까지
12일(현지시간) 인도 북부 우타라칸드주 하르드와르에서 힌두교 최대의 성지 순례 축제인 '쿰브멜라'(Kumbh Mela)가 열려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 사회적 거리 두기를 무시한 신자들이 갠지스강에서 몸을 씻고 있다. 인도는 최근 코로나19 환자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브라질을 넘어 세계 두 번째로 확진자 수가 많은 나라가 됐다. 하르드와르=AP/뉴시스

인도, 31만4835명 신규 확진… 세계 최다
인도에서 하루 동안 31만명이 넘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나오며 세계 최다 확진 기록을 세웠다. 최근 세계 신규 감염자의 40%가 인도에서 나오는 등 무서운 속도로 코로나19가 확산되는 배경으로 인도 정부의 느슨한 대응, 이중 변이 바이러스 확산 등이 꼽힌다.

22일 인도 보건·가족복지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기준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31만4835명으로 집계됐다. 타임스오브인디아 등 외신은 코로나19 유행 이후 단일 국가에서 발생한 최다 확진 사례라고 보도했다. 종전 최다 확진 기록은 지난 1월 8일 30만7581명의 신규 확진자가 나온 미국의 사례였다.

뉴욕타임스(NYT)는 최근 일주일 동안 신규 감염의 40%가 인도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도의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2월 8000~9000명대까지 줄었다가 3월 11일 2만명대로 올라섰다. 지난 15일 20만명대를 넘어선 신규 확진자 수는 일주일 만에 30만명까지 치솟았다.

사망자 수도 빠르게 늘고 있다. 이날 신규 사망자 수는 2104명을 기록했다. 지난 일주일 동안 매일 평균 1300명 이상이 코로나19로 사망했다. 두 달 전만해도 사망자 수는 일 평균 100명 미만이었지만 최근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는 것이다. 사망자가 늘면서 일부 지역의 화장터에선 유족이 며칠씩 대기하는 상황도 벌어지고 있다.
인도 수도 뉴델리의 코로나19 격리시설에서 19일(현지시간) 의료진이 환자들에게 포장 음식을 나눠주고 있다. AP연합뉴스

‘코로나 지옥’ 인도…의료시스템 붕괴
영국 가디언은 21일(현지시간) 인도의 상황에 대해 “시스템이 무너져 코로나 지옥으로 추락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신규 확진자를 위한 병상이 없어 환자가 복도에 누워 있거나 병원 밖에 구급차가 줄지어 늘어서 있는 등 이전부터 낙후됐던 인도의 의료시스템이 무너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인도 나시크의 한 병원에선 지난 20일 산소 탱크가 새면서 산소를 공급받던 코로나19 환자가 최소 22명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뭄바이 힐라비티 병원의 한 의사는 “전체 의료시스템이 붕괴했고 의료진은 지쳤다”며 “병상과 산소, 치료제, 백신, 검사 등 모든 것이 부족하다”고 전했다.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SNS에는 수만명이 병상과 산소, 치료제인 렘데시비르 등을 구한다는 게시글이 올라오고 있다. 비자이 싱 쿠르마 인도 교통장관도 “형제가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병상이 필요하다.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안일한 대처, 변종 바이러스”가 원인
전문가들은 인도 정부의 안일한 대처와 변종 바이러스의 등장이 인도의 ‘확진 쓰나미’를 불러왔다고 분석한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쿰브 멜라’ 등 힌두교 축제가 열릴 수 있도록 허용했고 수많은 인파가 마스크를 쓰지 않고 밀집한 채 축제를 즐겼다. 또 총리는 지난 17일 지방 선거가 열리는 웨스트벵골주를 찾는 등 최근 여러 지역에서 대규모 정치집회와 행사를 진행하기도 했다.

라마난 락스미나라얀 워싱턴 질병역학경제정책센터 소장은 “인도가 전례 없는 위기로 빠르게 빠져든 건 정부의 안일한 대처의 직접적인 결과”라고 지적했다.

방역에 대한 경계가 느슨해진 상황에서 등장한 ‘이중 변이’ 바이러스로 인해 상황은 더욱 심각해졌다. 인체 침투에 핵심적 기능을 하는 스파이크 단백질 유전자에 주요 변이가 2개 발생하는 ‘B.1.617’은 이전 변종보다 전파력이 더 강한것으로 알려졌다. 인도 변이는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변이와 브라질 변이와 같은 부위에 변이가 있어 현재 개발된 백신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매드후카르 파이 맥길대 교수는 “이중 변이를 뒤늦게 발견한 것이 감염자 폭증의 원인이 됐을 수도 있다”며 “매우 전염성이 강한 변이로 환자들을 매우 빠르게 악화시킨다. 변이를 추적하고 백신을 계속 수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