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중 6명 '만성 울분'..불공정 사회에 더 심해졌다

한영혜 2021. 4. 21. 22:2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회·정치적 사안이 일으킨 울분 16가지 가운데 가장 울분을 많이 느꼈다고 응답한 영역은 '정치·정당의 부도덕과 부패' 였다. 자료 서울대 보건대학원

국민 10명 중 6명이 만성적 울분 상태에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지난해(47.3%)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아진 수치로, 만성적 울분을 겪는 집단의 크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팀이 21일 발표한 ‘2021년 한국 사회의 울분 조사’ 설문 결과에 따르면, 국민의 58.2%가 중간(moderate) 또는 심한(severe) 수준의 울분을 겪는 ‘만성적인(chronic) 울분’ 상태에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조사기관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월 24∼26일 전국 성인 1478명을 대상으로 웹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울분 점수’는 ‘전혀 울분을 느끼지 않았다’는 응답을 1점, ‘매우 울분을 느꼈다’는 응답을 4점으로 매겨 산출한 평균 점수다.

사회·정치적 사안이 일으킨 울분 16가지 가운데 가장 울분을 많이 느꼈다고 응답한 영역은 ‘정치·정당의 부도덕과 부패’(남성 3.57점·여성 3.51점)였다. ‘정치·정당의 부도덕과 부패’에 따른 울분은 2018년 조사에서 5위, 2020년 조사에서는 3위를 차지했으나 올해는 1위에 올랐다.

성별에 따라 울분을 느끼는 사회·정치적 사안이 다르게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병역 의무의 위배’ 항목에서 여성보다 큰 울분을 느꼈고 여성은 ‘직장이나 학교 내 따돌림 괴롭힘 차별 착취’. ‘사회적 참사’, ‘스포츠 경기의 편파 판정’, ‘소수자 차별’ 등 문항에서 울분을 느꼈다.

‘정부(입법·행정·사법)의 비리나 잘못 은폐(남성 3.53점·여성 3.47점)’, ‘언론의 침묵·왜곡·편파 보도(남성 3.51·여성3.47점)’ 등이 뒤를 이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울분엔 ‘방역을 방해한 개인이나 집단이 법망을 피하거나 미흡한 처벌을 받을 때(3.47점)’가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사회 지도층이 거리두기 원칙을 위배할 때(3.44점)’, ‘특정 개인이나 집단이 허위 정보 제공 등 정의에 어긋나게 행동할 때(3.44점)’ 등이 뒤를 이었다.

유 교수는 “2018년부터 계속된 조사를 통해 우리 사회에 만성적인 울분 상태에 놓인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경고를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며 “울분의 부정적 건강 영향이 계속 확인되는 만큼 개인과 사회의 건강을 위한 긍정, 인정, 공정의 역량을 키워 울분을 줄이고 예방하려는 사회적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