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섬유화 위험인자.. 연령증가·남성·제2형 ·B형 간염 보균자·간기능 이상·비만·대사증후군 확인 

이영수 2021. 4. 20. 11: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BMJ Open는 의학 분야에 관한 연구 논문을 다루는 SCIE 급 open access 의학저널이다.

이 연구는 간 자기공명탄성영상(MRE; Magnetic Resonance Elastography)검사를 통해 측정한 지역사회 주민에서의 간 섬유화의 유병률과 분포를 조사하고, 간 섬유화의 위험요인을 파악한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건협 건강증진연구소 나은희 소장, 간 섬유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확인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 한국건강관리협회(이하 건협) 나은희(사진·건강증진연구소장/진단검사의학전문의) 연구팀은‘한국의 일반인구집단에서 간 섬유화 유병률과 관련 위험인자(Prevalence of liver fibrosis and associated risk factors in the Korean general population: a retrospective cross-sectional study) 연구논문을 SCIE급 학술저널 BMJ Open 최근호에 발표했다.

BMJ Open는 의학 분야에 관한 연구 논문을 다루는 SCIE 급 open access 의학저널이다. 

이 연구는 간 자기공명탄성영상(MRE; Magnetic Resonance Elastography)검사를 통해 측정한 지역사회 주민에서의 간 섬유화의 유병률과 분포를 조사하고, 간 섬유화의 위험요인을 파악한 것이다. 

간 섬유화는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인 간경변의 이전 단계로, 조기발견이 중요하다. 간 섬유화를 초기에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간 섬유화와 관련된 위험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2018년 1월부터 2020년 6월까지 건협 13개 건강검진센터에서 간 자기공명탄성영상(MRE)검사를 포함한 건강검진을 받은 검진자 8183명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결과 간 섬유화 분포를 보면, 대상자 중 9.5%가 초기 간섬유화 이상(significant fibrosis, ≥2.90 kPa)이었다. 특히 이중 2.6%는 진행된 간섬유화(advanced fibrosis, ≥3.60 kPa)로 조사됐다.

또한 초기 간 섬유화(significant fibrosis)의 위험인자로는 연령증가, 남성, 제2형 당뇨병, B형 간염 보균자, 간기능 이상, 비만, 대사증후군 등이 관련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은희 건협건강증진연구소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현재 증상을 보이지 않는 지역사회 주민에서 10명 중 1명은 초기단계 이상의 간 섬유화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에서 간 섬유화의 진행 및 이와 관련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현재 증상은 없지만 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는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간 섬유화 스크리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juny@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