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향기] MZ세대의 분노 "약속을 지켜라"

2021. 4. 20. 00:3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치열하게 공부하라 강요하곤
'결실'의 약속 지키지 못한 사회
좌절과 분노 커지는 아들딸에게
부모의 욕망 투영한 것 반성해야
전상직 서울대 음대 교수

1년 가까이 못 본 친구와 점심 약속을 잡았다. 오랜만에 보니 프로필 이름이 ‘봄내’로 바뀌었다. 봄내? 춘천(春川)의 순우리말 지명이다. 국어 교과서에 실린 피천득(1910~2007)의 ‘인연’을 통해 춘천을 접한 세대에 있어 춘천은 물리적 위치를 넘어 ‘아사코’로 대변되는 아련한 추억과 그리움으로 가득한, 그래서 그곳에 가면 헛헛함을 메울 수 있을 것처럼 마음속에 존재하는 곳이다. 누군가에게는 프로필 이름을 봄내로 바꿀 만큼 그리운 곳이지만, 내게는 너른내(洪川)를 떠나 10대 후반을 홀로 지낸 쓸쓸한 곳이다. 자율(?)학습을 마치고 돌아와 그 지긋지긋한 쓸쓸함을 털어내려 트랜지스터라디오를 켠다. 프랭크 푸어셀(1913~2000)의 ‘메르시 쉐리’(고마워요. 그대)에 뒤이어 DJ 이종환(1937~2013)의 목소리가 흘러나온다. ‘별이 빛나는 밤에’(MBC FM)다. 10대 후반, 늦은 밤을 그렇게 늘 함께했으니 ‘봄내’와 ‘별밤’은 내게 있어 정서적 동의어다.

비록 세대별로 ‘별밤지기’를 누구로 기억하는지는 다를지언정 우리 모두의 유년 시절 한 켠에는 이렇게 ‘별밤’이 자리하고 있다. 50년을 넘긴 이 음악 프로그램의 제목이 빈센트 반 고흐(1853~1890)의 ‘별이 빛나는 밤’(1889)이라는 것쯤은 누구나 잘 알고 있다. 자신의 귀를 스스로 베어낼 만큼 광기에 시달리던 그가 스스로 생레미의 요양원으로 거처를 옮긴 후 일출 직전의 동쪽 창밖 풍경을 그린 작품이란다. ‘밤의 카페 테라스’ ‘론강 위로 별이 빛나는 밤’ 등 고흐는 ‘별밤’을 유난히 좋아했나 보다. 사실 ‘별이 빛나는 밤’이라는 그림은 고흐보다 밀레(1814~1875)가 먼저(1850) 그렸지만….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돈 매클린(1964~)은 고흐의 삶을 ‘빈센트’(1971)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이제 알겠어요. 당신이 전하려 한 것이 무엇인지, 당신의 영혼이 얼마나 고통받았는지, 자유롭기 위해 얼마나 애썼는지. 그들은 들으려 하지도, 듣는 법도 몰랐지만, 아마도 이제는 알 거에요.” 이 노래가 요 며칠 머리에서 떠나지 않는다. 아들 녀석과 몇 마디 나눈 이후로.

평소 패션 테러리스트라 할 만큼 충격적인 차림으로 출근하던 아들 녀석이 느닷없이 검은 정장 차림으로 집을 나선다. 입사 동기가 2년 만에 세상을 등졌단다. 그날 이후 아내는 몇 번이고 깨서 아들이 잘 자고 있는지 확인하는 버릇이 생겼다. 회사 근처로 독립했던 동료들 모두 본가로 강제 소환당했단다. 어떤 부모가 그 소식을 듣고 남의 일이라 생각할 수 있겠나 생각해보면 지극히 당연한 조치다. 상가에 다녀온 아들과 이야기를 해야 했다. 두려웠다. 소위 MZ세대의 고민과 분노가 무엇인지 직접 확인해야만 할 것 같았다.

“산업화 세대와 민주화 세대는 자신들의 신념에 충실했고 그에 따른 역사적 소임을 다했다. 그리고 그들은 당시의 사회가 약속했던 결실을 거두었고 마땅한 권리로 그것을 누렸다. 그 세대를 부모로 둔 우리는 부모님의 강요(?)와 사회의 약속(?)을 믿고 밤새워 치열하게 공부했다. 일류대학을 거쳐 최악의 취업난에도 불구하고 직장을 얻었으니 상대적으로 성공했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현 직장에서 퇴직할 때까지 급여 총액을 다 모아도 2021년 4월 현재 서울 웬만한 곳의 소형 아파트 한 채 값이 안 된다. 상대적으로 좀 나은 내 동료들의 좌절감이 이 정도니 더 열악한 상황에 처한 이들의 분노는 오죽하겠는가?”

평소 온순하기만 했던 녀석이 거의 피를 토하듯 내뱉은 말이다. 지극히 세속적인 관점이라고, 물질적 현실에 눈이 가려 삶의 참 의미를 보지 못한다고 나무랄 수도 있었지만, “약속했으면 지켰어야 한다”는 말에 말문이 턱 막힌다.

약속을 지킬 수 없는 상황을 초래한 이 사회와 정치권에 분노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일그러진 욕망을 아들딸에게 투영했음에 대하여 스스로 반성하는 것이 우선이다. 노래 ‘빈센트’의 가사를 고흐가 아니라 우리의 아들딸이라 생각하고 다시 한번 읽어보자. “이제 알겠다. 너희가 전하려 한 것이 무엇인지, 너희의 영혼이 얼마나 고통받았는지, 자유롭기 위해 얼마나 애썼는지. 우리는 들으려 하지도, 듣는 법도 몰랐지만, 아마도 이제는 알 것 같구나.” 우리 중 누구라도 그토록 사랑하는 아들딸에게 이렇게 말한 적이 있었던가? “어떤 길이든 네가 가고 싶으면 그것이 옳은 길이 될 것이다”(피천득의 ‘인연’ 중).

좌절하고 힘겨워하는 그들에게, 심지어 세상을 스스로 등지는 이들에게 이렇게 말할 수는 없지 않은가? “이 세상은 당신같이 아름다운 이에게는 어울리지 않아요”(돈 매클린의 ‘빈센트’ 중).

전상직 서울대 음대 교수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