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정의 왜 음악인가] 한국 취소, 일본 가는 연주자
공연이 전혀 열리지 않았던 기간이 있다. 지난해 12월 사회적 거리두기가 2.5단계로 올라가면서 객석에 ‘퐁당당’ 지침이 내려졌던 때였다. 관객석 두 자리 띄기로 공연이 불가능해졌다. 모든 좌석을 팔아도 제작비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공연 제작자들은 “두 자리 띄기는 생계를 위협한다”고 성명서를 발표했다. 마스크를 쓴 관객들이 대화하지 않는 공연장에서는 2.5단계에도 한 칸씩만 띄어 앉도록 올 2월 규정이 완화됐다.
그렇게 바뀐 ‘퐁당’으로 다시 열린 공연장에서 이번엔 자가격리가 도마에 올랐다. 지난달 31일 국립발레단은 “입국 후 자가격리 2주가 불가하다”며 해외에서 각광받는 발레리노 김기민(29)의 내한 취소를 발표했다. 이달 16일엔 거장 피아니스트 다니엘 바렌보임(79)의 다음 달 서울 공연이 취소됐다. 역시 자가격리를 할 수 없어서였다.
16세에 베토벤 소나타 전곡(32곡) 연주를 했고 지금까지 전곡을 5번 녹음한 바렌보임은 이번에 베토벤을 연주할 계획이었다. 일본 도쿄의 산토리홀에서는 예정대로 공연한다. 6월 3·4일 베토벤의 초기·후기 소나타를 나눠 연주할 일정이 확정됐다. 일본이 자가격리 기간을 줄여줬기 때문이다. 바렌보임의 한국 공연 관계자는 “이달 10일 독일에서 백신 2차 접종을 한 바렌보임이 공연 관계자 외의 사람을 접촉하지 않는다는 조건 아래 일본 정부가 자가격리를 4일로 단축해줬다”고 전했다. 한국도 질병관리청이 백신 접종자와 관련해 자가격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개정안을 지난달 내놨지만 통과·적용 여부는 불투명하다. 바렌보임 내한 주최사 측은 “질병관리청, 문체부 등과 접촉했지만 확실한 답변을 듣지 못했고 공연 취소를 결정했다”고 했다.
한국의 2주 자가격리로 공연을 취소한 사례는 지난해부터 있었다. 오스트리아의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도 지난해 11월 한국 공연을 취소했고 도쿄에서는 공연했다. 빈필, 바렌보임, 김기민처럼 2주를 그냥 보내기 힘든 ‘몸값 높은’ 출연자들이다. 그런 만큼 청중의 기다림이 진하고, 티켓 판매가 보장되며, 공연 주최 측의 수익도 보장되는 공연들이다. 따라서 ‘퐁당당’ 띄어앉기에 이어 ‘2주 격리’가 공연산업에 빗장을 건다는 해석이 나온다.
한국의 공연장이 유일한 공연장인 것 같던 때도 있었다. 지난해 6월엔 영국 디지털문화미디어부의 올리버 다우든 장관이 박양우 당시 문체부 장관과 화상통화에서 한국의 공연장을 부러워했다. 영국산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이 전 세계 중 유일하게 한국에서 공연했기 때문이다. 다우든 장관은 “공연장 운영의 방역 지침을 공유해달라”고 요청했다고 한다. 그토록 자랑스럽던 K방역은 1년도 안 돼 사라지고 한국은 백신을 맞은 피아니스트도 연주하지 못하는 ‘공연의 섬’이 돼가고 있다.
김호정 문화팀 기자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400억 번 그가 회사 떠났다"…3040 이번엔 '코인 벼락거지'
- [단독]"회장님이 공수처 차장 추천"…이찬희 실세 논란
- 마스크 벗자 텅 빈 접종센터, "백신 맞아달라" 호소
- "알몸 원산폭격, 수치심에 극단적 생각도" 대구FC 가혹행위 영상 공개
- 대형마트서 산 양상추 봉지 뜯었더니, 길이 20cm 독사가…
- 192억짜리 미끄럼틀 됐다···中 153m '생명의 고리' 굴욕 [영상]
- 조기초경 11세 소녀 쇼크 "수십년전 살충제 노출 외할머니 탓”
- 이스타 600명 자른 이상직, 딸은 회삿돈으로 1억 포르쉐 탔다
- [단독]공수처 수사관 지원자들 “면접볼 때 인권침해 당했다”
- [단독]전효관 창업회사 용역비 2배 증가…본인이 결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