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 백신은 안전?.. 피해야 할 사람도 있다

신은진 헬스조선 기자 2021. 4. 16. 08: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플랫폼을 이용한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백신과 희귀 혈전 발생의 연관성이 일부 확인되면서 mRNA 백신 계열인 화이자, 모더나 백신이 보다 안전한 백신이라는 인식이 생기고 있다.

최근 서울대학교병원 연구팀(김현지, 김현화, 박가윤, 강동윤)이 약물역학위해관리학회를 통해 발표한 'COVID-19 예방접종 주의사항'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성분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화이자와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피해야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mRNA 백신 내 PEG 성분 알레르기 유발 가능​
PEG 성분 알레르기가 있다면 화이자의 코로나 백신 접종을 피해야 한다. /사진=연합뉴스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플랫폼을 이용한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백신과 희귀 혈전 발생의 연관성이 일부 확인되면서 mRNA 백신 계열인 화이자, 모더나 백신이 보다 안전한 백신이라는 인식이 생기고 있다. 하지만 mRNA 백신도 결코 부작용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mRNA 백신을 피해야 하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mRNA 백신 알레르기? 문제는 'PEG'

최근 서울대학교병원 연구팀(김현지, 김현화, 박가윤, 강동윤)이 약물역학위해관리학회를 통해 발표한 'COVID-19 예방접종 주의사항'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성분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화이자와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피해야 한다.

PEG 성분은 중증 전신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를 유발할 수 있다. 현재 정부는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전 예진을 통해 PEG 성분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였던 사람을 백신 접종 금기대상으로 분류하고 있다.

◇대장내시경·만성간염약 알레르기 있다면 화이자 NO

문제는 자신이 PEG 성분에 알레르기가 있는지 알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별도의 피부반응검사 등을 시행해야만 PEG 성분 알레르기 여부를 알 수 있다.

다행히 PEG 성분을 포함하는 약물은 미리 알 수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PEG 함유 의약품에는 ▲대장내시경 전처치 약물인 코리트산, 쿨프렙산 등 ▲온카스파, 오니바이드, 케릭스 등 일부 항암제 ▲뉴라스타, 뉴라펙, 듀라스틴 등 백혈구촉진제 ▲미쎄라 등 조혈촉진제 ▲페가시스, 페그인트론 등 만성간염 치료제가 있다.

이 약물을 사용한 후 알레르기나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생긴 경험이 있다면 화이자, 모더나 백신을 접종하지 않아야 한다.

◇폴리소르베이트 알레르기 있다면 AZ 백신 접종 피해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피해야 하는 사람도 있다. 바로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경우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경우, PEG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폴리소르베이트 성분은 포함하고 있다. 폴리소르베이트는 많은 약제와 식품에 포함되고 있으며, 단일클론 항체 약제에도 포함되어 있다.

다만 연구팀은 "폴리소르베이트는 mRNA 백신에 포함된 성분은 아니지만, PEG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므로, 이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사람 역시 해당 백신의 회피를 권고"한다고 밝혔다. 이어 "폴리소르베이트는 PEG와 교차반응성이 있기에 PEG 알레르기에 대한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만약 PEG 알레르기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COVID-19 백신 접종을 주의하거나 회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