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장에서 발라드를 틀지 않는 이유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2021. 4. 16. 07: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운동을 할 때 빠질 수 없는 게 있다.

음악을 들으면 운동의 지루함을 줄여줄 뿐 아니라, 리듬과 박자에 맞춰 몸을 움직이게 한다.

실제 여러 연구를 통해 음악을 듣는 게 운동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실제 사이클 선수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음악을 들을 때 페달을 더 빠르게 밟았으며, 같은 힘을 내는 데 필요한 산소량 또한 음악 없이 사이클을 탄 선수들보다 7% 높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운동할 때 빠른 박자와 큰 소리의 음악을 들으면 교감신경이 자극돼 몸을 흥분시키고 빨리 움직이게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운동을 할 때 빠질 수 없는 게 있다. 바로 ‘음악’ 이다. 음악을 듣지 않고 조용히 운동하는 사람도 많지만, 러닝을 하거나 헬스장에서 근력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운동할 때마다 음악을 즐겨 듣는다. 음악을 들으면 운동의 지루함을 줄여줄 뿐 아니라, 리듬과 박자에 맞춰 몸을 움직이게 한다. 실제 여러 연구를 통해 음악을 듣는 게 운동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헬스장에서 음악을 틀어놓는 것 또한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헬스장에서는 유독 빠르고 신나는 음악만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이유가 뭘까. 느린 박자의 발라드를 지속적으로 들으면 몸이 쳐지고 기운이 빠지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반면, 빠른 박자와 큰 소리 등 자극적인 요소는 교감신경을 자극해 몸을 흥분시키는 물질이 분비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운동에 쓰이는 에너지가 많아지면 신체는 더 빨리 움직이게 된다. 실제 사이클 선수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음악을 들을 때 페달을 더 빠르게 밟았으며, 같은 힘을 내는 데 필요한 산소량 또한 음악 없이 사이클을 탄 선수들보다 7% 높았다.

음악과 함께하는 운동이 체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도 있다. 이탈리아 베로나대 연구팀은 20대 여성 19명에게 느린 박자(90~110bpm)의 음악과 빠른 박자(170~190bpm)의 음악을 번갈아 들려줬다. 그 결과, 빠른 박자의 음악을 들으면 음악을 듣지 않거나 느린 박자의 음악을 들었을 때보다 심박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박수가 높을수록 체력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지나치게 빠르거나 시끄러운 음악을 듣는 것은 좋지 않다. 이는 오히려 운동의 피로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음악은 120~140bpm(분당 비트)이며, 규칙적인 박자와 리듬, 또는 박자의 앞이나 끝에 강조된 리듬을 예상할 수 있는 곡이 좋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