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700명 죽고도..'떼춤' 축제한 미얀마 군인들[영상]

이주연 2021. 4. 15. 11:2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얀마는 이번 주 최대 축제인 전통설 띤잔(Thingyan) 연휴를 맞이한 가운데 군인들이 물축제를 그대로 벌인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이 일고 있다.

물축제는 띤잔 연휴에 찾아볼 수 있는 미얀마 대표 지역 축제다.

민주진영 임시정부격인 '연방의회 대표위원회'도 해당 영상을 공유하며 "민간인들은 공포 속에서 살고 있는데 군인들은 띤잔 축제를 기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유튜브에도 미얀마 군인들이 띤잔 축제를 즐기는 영상이 올라와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민들 공포 속 사는데..침략한 외국군 같다"
반 쿠데타 인파를 전통설 기념 인파라는 '가짜 뉴스'도 나와
미얀마 현지 매체 이라와디 캡처


미얀마는 이번 주 최대 축제인 전통설 띤잔(Thingyan) 연휴를 맞이한 가운데 군인들이 물축제를 그대로 벌인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이 일고 있다.

물축제는 띤잔 연휴에 찾아볼 수 있는 미얀마 대표 지역 축제다. 하지만 군부의 유혈 진압으로 700명 이상이 무고하게 희생된 올해의 경우 물축제를 하지 말자는 여론이 대다수였다. 희생자들을 기리며 저항 의지를 다지자는 시민들의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SNS에 올라온 군인들의 모습은 이 같은 공감대와는 거리가 멀었다.

15일 미얀마 현지 매체 이라와디는 만달레이의 한 사관학교에서 전날 생도들이 띤잔 축제를 즐기는 영상을 보도했다.

영상에 따르면 시끄러운 음악이 울려 퍼지는 가운데 수백명의 생도들은 다채로운 색의 옷을 입고 물줄기를 맞으며 춤을 추고 있다. 이라와디는 “2월 쿠데타 이후 시민들의 희생을 존중하는 의미에서 다른 곳에서는 시민들이 띤잔 축제를 벌이는 것을 거부했다”고 밝혔다.

민주진영 임시정부격인 ‘연방의회 대표위원회’도 해당 영상을 공유하며 “민간인들은 공포 속에서 살고 있는데 군인들은 띤잔 축제를 기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불법적인 미얀마 군부는 미얀마를 침략한 외국 군대에 더 가깝다”고 꼬집었다.

(일부 영상은 포털사이트에서 노출되지 않습니다. 국민일보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유튜브에도 미얀마 군인들이 띤잔 축제를 즐기는 영상이 올라와 있다. 지난달 말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가 인터뷰한 전현직 장교 4명은 “군인 대부분이 세뇌돼 시위대를 범죄자로 간주한다”며 “대다수 군인은 현실과 동떨어져 있고 이들에겐 군부가 유일한 현실”이라고 전했다.

한편 한 단체는 군부 방송이 양곤의 중심부 광장을 가득 채운 반(反) 쿠데타 집회 모습을 띤잔을 즐기려는 인파라고 속이는 거짓 뉴스를 내보냈다며 SNS를 통해 고발하기도 했다. 이에 누리꾼들은 “이런 거짓 뉴스로 군부는 미얀마에는 아무런 문제도 없다고 감추려는 속내인 것이다”라며 분노를 표했다.

이주연 인턴기자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