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박이말 살리기] 나물과 남새

이창수 입력 2021. 4. 15. 11: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두날(화요일) 배움이들과 봄나들이를 갔습니다.

때가 때인 만큼 멀리 가지는 못했고 배곳(학교) 둘레에 좋은 곳이 있어서 그곳을 한 바퀴 돌고 왔지요.

그래서 저는 '야채'를 가리키는 말로는 토박이말 '나물'을 쓰고, '채소'를 가리킬 때는 '남새'를 쓰면 좋겠습니다.

나물과 남새를 싸잡아 가리키는 말인 '푸성귀'도 함께 말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토박이말바라기의 토박이말 살리기

[이창수 기자]

 
▲ [토박이말 살리기]나물과 남새 야채, 채소를 갈음해 쓸 수 있는 말입니다.
ⓒ 이창수
 
지난 두날(화요일) 배움이들과 봄나들이를 갔습니다. 때가 때인 만큼 멀리 가지는 못했고 배곳(학교) 둘레에 좋은 곳이 있어서 그곳을 한 바퀴 돌고 왔지요. 배움이들을 데리고 나가기 앞서 가 볼 곳에 가서 살펴보고 왔습니다.

나가 보니 여러 가지 풀이 있었는데 이름을 아는 것도 있고 모르는 것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아는 것은 알려드리고 모르는 것들은 함께 찾아보기도 했습니다. 그 자리에서 어떤 것은 이름에 '풀'이 붙어 있고 어떤 것에는 '나물'이 붙어 있는데 어떻게 다른지를 알려드렸는데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해 드리겠습니다.

우리 둘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 가운데 '광대나물'이 있습니다. '광대나물'이라는 이름은 꽃의 생김새가 광대가 춤을 추고 있는 모습을 닮았다고 그런 이름이 붙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런데 그것이 어릴 때 부드러운 것을 데쳐서 무쳐 먹으면 아주 맛있답니다.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들께서는 그렇게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것에 '나물'을 붙여 놓으셨습니다.

그리고 또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애기똥풀'이 있습니다. '애기똥풀'은 잎이나 줄기를 꺾으면 노란 물이 나오는데 그 빛깔이 애기똥 빛깔을 닮았다고 그런 이름이 붙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풀에는 독성이 있어서 먹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이처럼 사람이 마음 놓고 먹을 수 없는 것에는 그냥 '풀'이라는 이름을 붙여 놓으신 거죠.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들의 슬기가 엿보이는 이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 다음에는 우리가 고기를 먹을 때 곁들여 먹기도 하고 몸이 튼튼해지려면 많이 먹으라고 하는 '채소'와 '야채'와 아랑곳한 이야기를 해 드렸습니다. 흔히 상추나 당근, 양파, 배추 같은 것들을 똑똑히 가리지 않고 '야채' 또는 '채소'라고 부르는데, 이 둘은 다른 것이랍니다.

'야채'는 들에서 나고 자라나는 것을 베거나 캔 것을 뜻합니다. 들이나 메에서 뜯어온 쑥, 고사리 들이 여기에 들겠죠. '채소'는 사람이 손수 밭에서 키워 거둔 것인데, 우리가 흔히 먹는 무, 상추, 시금치, 오이, 깻잎 같은 것들입니다.

'채소'는 중국식 한자고 '야채'는 일본식 한자라고 설명하는 사람도 있고, '야채'라는 한자말이 세종실록, 성종실록에도 나온다고 아니라는 사람도 있습니다. 어떤 풀이가 맞는지 틀린지를 따지기 앞서 이 말을 가리키는 토박이말을 먼저 챙겨 썼으면 좋겠다는 겁니다.

'채소'를 가리키는 토박이말은 옛날에 시골 어른들이 많이 쓰다 보니 사투리라고 생각하기도 하는 말, '남새'입니다. 이 말을 알면 '남새밭'이라는 말도 그 뜻을 바로 알 수 있어 좋습니다.

말집(사전)에 찾아봐도 '채소'와 '남새'가 같은 뜻이라고 되어 있는데 쓰는 사람들이 많지 않아 아쉽습니다. 그래서 저는 '야채'를 가리키는 말로는 토박이말 '나물'을 쓰고, '채소'를 가리킬 때는 '남새'를 쓰면 좋겠습니다. 나물과 남새를 싸잡아 가리키는 말인 '푸성귀'도 함께 말입니다.

온 나라 사람들이 하루하루 살기에 바빠 챙기지 못하고 지나치는 이런 풀과 나무 이름을 우리 아이들은 알고 쓰며 살도록 해 주면 삶이 더 넉넉해질 거라 믿습니다.

4354해 무지개달 열닷새 낫날(2021년 4월 15일 목요일) 바람 바람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경남일보에도 보냈습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