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오르는데..IMF "韓, 기준금리 올릴 때 아니다"(종합)

김은별 2021. 4. 14. 11:1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너선 오스트리 IMF 아시아태평양국 부국장
아태지역 경제 관련 온라인 기자간담회
13일(현지시간) 조너선 오스트리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국 부국장이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질의응답을 진행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국제통화기금(IMF)은 한국 경제가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면서도 아직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으로 대응할 때는 아니라고 13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날 조너선 오스트리 IMF 아시아태평양국 부국장은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을 고민해야 하느냐'는 아시아경제신문의 질문에 "현재 통화정책을 그대로 유지하고, 기준금리는 올리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고 답했다. IMF는 최근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1%에서 3.6%로 대폭 올렸다.

오스트리 부국장은 "한국은 지난해 적절한 통화·재정정책으로 성장률이 아시아 국가들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매우 좋았다"며 "올해 회복도 대체로 잘 이뤄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아직 유휴자원(slack)이 비용상승 압력을 낮추고 있고, 인플레이션 증거도 확인되지 않고 있다"며 기준금리는 연 0.50% 수준을 유지하길 권했다.

지표상 물가 상승이 곳곳에서 포착되며 인플레 우려가 나오고 있지만, 아직 한국에서 인플레를 논하기엔 이르다는 쪽의 의견에 무게를 실은 것이다. 한국이 수출 주도 경제인 만큼 글로벌 경기회복에 힘입어 성장률은 높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여전히 노동시장 유휴인력이 많아 지속적인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긴 어렵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날 한은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는 109.73으로(2015=100) 전월대비 3.4%, 전년동월대비 9.0% 올랐다. 전년동월비 수입물가가 오른 것은 14개월만, 상승폭은 2018년 10월(11.1%) 이후 가장 컸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도 전년동월비 1.5% 올라 14개월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통상 수입물가가 오르면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김영환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물가에는 민간소비 동향도 함께 반영되기 때문에 소비자물가에 얼마나 영향을 줄 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플레이션 증거 확인되지 않아"
"한국 가계부채, 주택담보대출 관리 가능한 수준"

IMF는 이날 간담회에서 금융안정 측면을 봐도 한국이 저금리를 유지하는게 낫다고 말했다. 오스트리 부국장은 "주택관련 위험을 포함, 금융안정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금리를 올리길 권장하지 않는다"며 "(저금리 기조에서) 가계대출이 늘어난 것은 맞지만 거시 건전성 정책 덕분에 위험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가계부채가 국내총생산(GDP)에 맞먹는 수준으로 늘었지만, 현재로선 금리인상으로 차주들의 부담이 증가하는 등 잃을 것이 더 많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한편 IMF는 이날 한국의 정부 부채는 노령화·의료비 부담을 고려해 지출 계획을 세밀하게 짜야 한다고 조언했다. 민간부채를 우려해 기준금리를 올릴 정도는 아니지만, 앞으로 정부 부채 부담은 더 늘어날 수 있는 만큼 돈을 적절하게 쓸 수 있도록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IMF는 한국의 정부부채가 2026년 GDP의 69.7%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아시아 국가 전반으로 봤을 때에는, 관광 의존도나 코로나19 백신 확보여부 등에 따라 경제회복 속도에 격차가 나타나는 가운데미국의 통화재정정책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이 부분은 예의주시하며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오스트리 부국장은 "미국의 시장금리가 예상보다 더 빠르게 오르거나,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통화정책에 대한 의사소통에 실패할 경우 2013년 테이퍼 탠트럼 때와 마찬가지로 금융시장에서 자본이 유출되며 거시금융 안정성을 훼손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갑작스러운 외화자금 유출로 금융시장 충격이 오지 않도록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코로나19 경제구조 변화에 대비해 아시아 국가들이 전통적인 무역·관광산업 외에도 지속적이고 친환경적인 경제 기반을 마련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오스트리 부국장은 아태지역 다자무역체제를 지향하는 아시아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이 세계적으로 매우 강력한 신호를 준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한국과 중국, 일본의 친환경 산업정책에 대해 환영한다고 밝혔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