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수산물 연 3만t 수입.. 삼중수소 등 유해 물질 불안 고조

신재희,박민지 2021. 4. 14. 04: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이 후쿠시마 제1원전에 보관 중인 오염수를 바다에 방출하기로 결정하면서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경계감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원전 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현 등 일본 8개 현의 모든 수산물은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

삼중수소, 세슘 등 원전 오염수 내 방사성 물질의 국내 해역 유입 관리방안도 제시했다.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에는 유전자 변형, 생식기능 저하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삼중수소가 들어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체에 가장 위험 스트론튬90 포함
"日 오염수, 200일 내 제주도 도달"
13일 서울 도봉구 하나로마트 창동점 수산물 코너에서 직원이 ‘일본산 제품을 판매하지 않는다’고 적힌 안내문을 붙이고 있다. 이날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로 발생한 방사성 물질 오염수를 바다에 배출하기로 결정했다. 연합뉴스


일본이 후쿠시마 제1원전에 보관 중인 오염수를 바다에 방출하기로 결정하면서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경계감이 커지고 있다. 원전 오염수가 해류를 타고 한국 해양으로 유입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해양수산부는 13일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어 수산물 안전 확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했지만 삼중수소(트리튬) 등 유해물질에 대한 국민 불안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박준영 해수부 차관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정부는 국민 건강에 위해를 끼칠 수 있는 어떠한 조치와도 타협하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 원칙으로 필요한 모든 조치를 다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수입 수산물에 대한 유통이력 관리와 원산지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일본산 수산물은 지난 5년간 10만7700t가량 수입됐다. 해수부 통계로 연간 수입하는 일본산 수산물은 3만t 정도다. 해수부는 원산지 위반 적발이 잦고 소비자 민감도가 높은 수산물을 중점품목으로 지정해 연중 집중단속하고 위반 시 강하게 처벌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원전 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현 등 일본 8개 현의 모든 수산물은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 그 외 지역 일본산 수산물은 수입 시 식약처 주관으로 방사능 검사를 실시한다. 박 차관은 “수산물 40종에 대해 2016년 이후 매년 2000건 이상 방사능 검사를 하고 있는데, 올해 3000건 이상으로 검사 규모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중수소, 세슘 등 원전 오염수 내 방사성 물질의 국내 해역 유입 관리방안도 제시했다.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에는 유전자 변형, 생식기능 저하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삼중수소가 들어 있다. 삼중수소가 바다에 뿌려지면 한국, 중국 등 인근 국가에 서식하는 수산물에 흡수되고 결국 이를 섭취한 인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끼친다. 특히 삼중수소는 일본 측 주장과 달리 다핵종제거설비(ALPS)로도 완벽히 제거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이 펴낸 자료에 따르면 다핵종제거설비로 처리한 115만t의 오염수 중 안전기준치를 통과한 건 30%뿐이었다. 나머지에서는 스트론튬90이 검출됐다. 스트론튬90은 인체에 가장 위험한 것으로 알려진 핵분열 생성물질이다. 극소량으로도 골육종이나 백혈병을 일으킬 수 있다. 지난해 10월 독일 헬름홀츠 해양연구소는 후쿠시마 오염수가 200일 안에 제주도에, 280일 뒤에는 동해 앞바다에 도달한다는 시뮬레이션 연구 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해수부는 항만에서 기상·해양 관측을 하는 지점인 조사정점과 연간 조사횟수를 늘리는 방식으로 해양방출 전후의 바다환경 변화를 선제적으로 조사하겠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항만 조사정점 7곳을 추가한 데 이어 올해는 동·남해 및 제주해역 등 주요 해역 13개 조사정점에 대한 연간 조사횟수를 4회에서 6회로 늘릴 계획이다.

세종=신재희 기자, 박민지 기자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