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방 셀프 신속항원검사' 오세훈 실험..전문가들 "승인날까 의문"

최은경 2021. 4. 13. 17:1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자문했다는 27명 명단 비공개
오세훈 서울시장이 1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자가진단키트 도입’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이에 앞서 시범사업으로 추진되는 신속항원방식의 자가검사에 대해서 전문가들이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의료인만 할 수 있도록 허가된 제품을 일반인이 셀프검사 하는 방식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셀프검사' 시범사업 추진…연구목적이면 가능?
오 시장은 13일 국무회의에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의 희생에 기반한 지금의 방역체계는 유지할 수 없다”며 서울형 거리두기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시범사업의 범위나 이런 것들은 중대본과 협의해서 하겠다"는 단서를 달았지만 "서울형 거리두기 시스템 골격은 이번주 안에 완성할 것"이라며 속도를 내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오 시장의 카드는 자가진단키트와 신속항원검사 두 가지인데, 자가진단키트는 허가난 제품이 없다. 오 시장이 식약처에 이날 국무회의에서 신속한 허가를 촉구한 배경이다. 이 제품이 허가가 나기 전까지 오 시장은 현재 사용이 가능한 신속항원검사를 통한 자가검사를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이 검사는 의료인들이 비인두도말(면봉을 콧구멍 깊숙이 찌르는 방식)로 검체를 채취하도록 승인된 상태다.

서울시는 시범사업을 통해 노래방을 찾은 손님이 직접 면봉으로 콧구멍 1~2㎝(비강)에서 검체를 채취하는 방식을 염두에 두고 있다. 원래 허가와는 검체 채취의 주체와 방법이 확 달라지는 셈이다. 이를 통해 의료인과 일반인이 검사하는 방식의 민감도 등을 평가하겠다는 것이 서울시의 구상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원래는 의료인만 할 수 있지만 연구목적이면 일반인도 가능하다고 알고 있다”고 말했다.

12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에스디바이오센서 관계자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자가 진단키트'를 이용해 검사를 시연하고 있다. 면봉으로 콧속에서 검체를 채취, 진단시약에 넣어 판별한다. 이날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신속한 진단을 위해 '자가검사키트'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나섰으며 오세훈 서울시장도 '자가 진단키트' 승인을 정부에 촉구했다. 연합뉴스


전문가들 "연구승인 어렵고 실효성 부족"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서울시의 시범사업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안이 나오지 않아 가능성 여부를 말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노혜원 혁신진단기기정책과장은 "시범사업과 연구목적이라는 것은 의미가 좀 다르다"면서 "연구목적이라면 연구설계가 정확하게 어떻게 이뤄지는지 상황을 보고 판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연구 승인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한다. 홍기호 연세대 의대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환자가 아닌 무증상 정상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식약처가 승인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엄중식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 역시 “유럽 질병통제예방센터(CDC)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100명 중 2명이 확진되는 유병율이 높은 상황에서 신속항원검사를 쓰라고 한다”며 “기본 지침부터 어긋난 데다 연구목적이라고 하지만 일반인 검체 채취 방식이 (의료인에 비해) 민감도가 훨씬 낮게 나올 것이 뻔해 승인이 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재갑 한림대 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신속항원검사 키트 개발회사에서 이미 이런 비교를 한 뒤에 민감도가 높은 비인두도말 방식으로 허가받지않았겠냐”며 “그것보단 민감도 높은 키트를 개발하는 데 투자해야 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정확도 비교 개발회사가 이미 했을 것”
서울시 방역정책에 참여한 한 전문가는 “지난해에도 서울시에서 여러 신속진단키트 활용을 검토했지만 진단 목적으로 쓰는 것은 어렵다는 결론을 냈다”며 “신속항원검사는 의료진이 비인두도말로 검체를 채취해도 정확도가 떨어지는데, 일반인이 비강에서 검사하면 오히려 현장에서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코로나19 검사.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역시 전문가들과 비슷한 우려를 나타냈다. 권 장관은 이날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지금 서울과 경기에서 확진자가 절반 이상 나오는데 자칫하면 여기에서 더 폭발적으로 나타나 당국이 감당이 안 되는 수준이 될 수도 있다”며 “굉장히 신중하게 검토해야 하고 이 부분을 전문가들과 충분히 더 상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吳 "전문가 의견 두루 듣고 있다"
오 시장은 전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브리핑에서 "의사를 포함한 다수(27명 이상) 전문가에게 의견을 들었다"면서 "서울형 거리두기 매뉴얼을 만드는 일주일 동안 다른 전문가 의견도 참고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해당 전문가들이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여러 전문가로부터 의견을 들었다고만 이야기할 수 있다"고만 밝혔다. 개인정보보호와 공정한 결론 도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도 공개하기 어려운 이유로 꼽았다. 지난해 서울시 자문단으로 참여한 엄중식 교수는 “자문단이 정식으로 꾸려졌다면, 밝히는 게 맞다"면서 "자문단이 누구인지, 이견은 없었는지 등을 밝히지 않는다면 그게 더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

최은경 기자 choi.eunkyu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