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조 투자 당근 기대했는데..백악관 압박에 고심 커지는 삼성전자

최현주 2021. 4. 12. 18:2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세계 주요 반도체 관련 기업을 백악관으로 불러 모았다. 국적과 관계없이 ‘반도체 가치 동맹’(AVC·Alliance Value Chain)을 만들어 중국을 견제하고, 일자리 창출에 나서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바이든의 노림수 ‘중국 견제+일자리’
미국 백악관은 12일 오후 12시(현지시간) 삼성전자 등 19개 반도체 관련 업체의 수장이 참석하는 ‘반도체 CEO 서밋’을 화상회의 형태로 진행한다고 밝혔다. 제이크 설리번 미국 국가안보보좌관과 브라이언 디스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이 주재하며, 바이든 대통령도 직접 참석할 예정이다. 백악관 측은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의 일자리 계획과 반도체 공급망 확대를 포함한 경제 대책을 논의하기 위한 반도체 CEO 서밋에 참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반도체 업계 안팎에선 이번 CEO 서밋은 겉으론 ‘회의’ 형태로 포장됐지만, 바이든 대통령의 노골적인 노림수가 담겨 있다고 본다. 회의에 초청받은 업체는 크게 반도체 생산업체와 반도체가 필요한 미국 업체로 나뉜다. 삼성전자를 비롯해 TSMC(대만), NXP(네덜란드), 글로벌파운드리‧스카이워터테크놀로지‧인텔‧마이크론(이상 미국)은 반도체 생산 업체다.

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2월 백악관에서 반도체·전기차배터리·희토류 등 주요 물자의 공급망 점검을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기 전 반도체 칩을 들어 보이고 있다. [EPA]



“美 업체에 원활한 반도체 공급” 당부할 듯
나머지는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 통신사인 AT&T, 자동차엔진업체 커민스, 자동차부품사인 피스톤, PC업체 델과 휴렛팩커드(HP), 자동차업체 포드와 GM, 의료기기업체 PACCAR, 방산업체 노스럽 그러먼 등이다. 대부분 반도체가 꼭 필요한 미국 업체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공급자와 수요자를 한자리에 모아 동맹 관계를 맺어주고, 미국 업체에 반도체 공급을 원활하게 해달라는 메시지를 제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반도체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에 대한 ‘선제공격’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바이든 대통령은 반도체를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전략 물자로 본다. 이런 가운데 중국의 위협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더믹에도 주요 국가 중 유일하게 2%대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미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70% 수준을 넘어섰다.

미국은 중국을 견제할 무기로 반도체를 꺼내 들었다. 미국 내에 반도체 생산공장을 유치하고, 미국 내 관련 산업을 집중시켜 반도체 AVC의 중심지를 미국 내에 두겠다는 구상이다. 일자리는 덤처럼 따라온다. 바이든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메이드 인 아메리카’를 강조했다.

백악관의 회의 초청에 ‘화답’해야 하는 삼성전자는 머리가 아픈 상황이다. 업계에선 백악관이 미국 본토에 대한 투자 확대를 요구할 것으로 본다. 삼성전자는 이미 170억 달러(약 19조1400억원) 규모의 반도체 투자를 위해 미국 내 후보지를 고심하고 있다. 현재 텍사스주 오스틴이나 인근 댈러스를 놓고 저울질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공장이 있는 오스틴에 시설을 증설하거나, 세제나 인프라에서 보다 ‘화끈한 인센티브’를 제시하는 텍사스주 내에 다른 도시를 낙점할 수 있다는 얘기다. 삼성전자는 텍사스 주정부에 향후 20년 동안 8억8550만 달러(약 9000억원)에 이르는 재산세 감면 등의 혜택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미국 알래스카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회담. [AP=연합]


“당근 예상했으나, 외려 압박 커지는 형국”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삼성으로선 지역 간 유치 경쟁을 유도해 협상력을 높이고, 보다 좋은 조건을 얻으려는 속내가 있었을 것”이라며 “바이든 정부 초기엔 ‘당근’을 예상하고 투자 발표 타이밍을 기다렸을 수 있다. 이제는 오히려 압박이 커지는 상황이 됐다”고 진단했다.

삼성전자 입장에선 중국의 눈치도 봐야 한다. 삼성전자의 전체 반도체 매출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중국도 20% 수준에 이른다. 중국 시안에 낸드플래시 공장도 운영 중이다. 중국도 미국 수준의 증설이나 신규 투자 등을 요구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삼성은 오너경영인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부재인 상황에서 곤란한 상황에 부닥쳤다”고 말했다.

류영호 미래에셋증권 애널리스트는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하면서 반도체가 곧 국가 경쟁력이 된 상황”이라며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반도체 자립을 위한 국가별 경쟁이 심화하고, 이에 따른 투자 확대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최현주 기자 chj80@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