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①] 또 인생작..성장한 변요한, 눈물의 '자산어보'

조연경 2021. 4. 11. 14: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배우 변요한 / 사진=메가박스중앙(주)플러스엠

약 4년만의 스크린 복귀, 인생작·인생캐릭터로 돌아온 변요한이다. 심신의 안정을 위해 가졌던 공백기는 명약이 된 셈. 대표 필모그래피를 또 한 줄 채우게 만든 영화 '자산어보(이준익 감독)'에서 변요한은 조선의 어부 창대 옷을 입고 훨훨 날아다녔다. 뜨거움에 울컥하고 감사함에 눈물을 흘리게 만든 배움의 시간이자 작품은 변요한을 또 한번 성장하게 만드는 절호의 기회가 되기도 했다.

바다를 벗어나 세상 밖으로 나가기 위해 글 공부에 몰두하는 청년 어부 창대는 나라의 통치 이념인 성리학을 제대로 알고 실천하는 것이 백성을 위한 길이라 믿으며 물고기를 잡는 것보다 글 공부를 더욱 중시한다. 유배지 흑산도에 도착한 사학죄인인 정약전을 멀리하려는 고지식한 면모를 보이던 창대는 결국 서로가 가진 지식을 나누자는 정약전의 제안을 따르게 되면서 진정으로 백성을 위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하고 성장해나간다.

정약전이 집필한 '자산어보'에 이름은 명확하게 적시돼 있지만 실제로 어떤 인물인지는 확인할 길이 없다. 그 빈틈의 길을 이준익 감독과 변요한이 함께 완성했다. 창대의 모든 것을 습득하기 위해 대내외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인 변요한은 특히 창대의 변화하는 감정선을 온전히 이해하고 입체적으로 표현하는 데 온 정신을 쏟았다. 시대를 넘어 '청춘'을 대변할만한 창대이기에 더 잘해내고 싶었다는 변요한. 흑백영상 속 저만의 색으로 빛나는 창대는 그냥 탄생한게 아니다.

창대에게 물고기가 업이었다면, 변요한에게는 연기가 업이다. 여전히 목마르고, 끝없는 고민을 샘솟게 한다. 이준익 감독은 "포텐 터졌다"는 극찬도 아끼지 않았지만, 단순한 표현이 아닌, 누군가의 삶을 대변하며 희로애락을 느끼게 만드는 연기의 무게감을 변요한은 시간이 지날 수록 더 깊이 체감하고 있다. 살면서 경험하는 모든 것들을 연기에 투영시키고 싶다는 욕심. "해야 할 고민이라면 즐겁게 하고 싶다"는 변요한이 기꺼이 즐겨낼 연기가 더 기대되는 이유다.

배우 변요한 / 사진=메가박스중앙(주)플러스엠

-완성된 영화를 보며 울었다고. "눈물을 참으려고 했는데 아무래도 내가 내 모습을 보다 보니 여러가지로 촬영 때 기억들이 떠올랐다. 감사함의 눈물이었던 것 같다. 찍고 나서 엄청 오랜시간이 지난 후에 봤기 때문에 더 감사했던 것 같다. 결과물을 봤을 때 정말 좋은 영화라는 큰 울림이 있어서 슬픔을 참으려고 했는데 결국 흘려버렸다. 여운이 깊었다."

-어떤 지점에서 깊은 여운을 느꼈나. "뜨거움이었던 것 같다. 정신차리고, 냉정하게 생각했을 때 모든건 '뜨거움'이었다는 생각이 들더라. 정약전 선생님과 창대도 뜨겁지만 주민들도 뜨겁고 사랑이 많다. 혼란스러운 상황에서도 웃음이 끊기지 않고, 묘하게 여러가지가 복합적인 감정들이 보여진다. 결국에는 약전과 창대만의 벗 이야기가 아니라 정약전 선생님 옆에 계셨던 모든 분들이 벗이지 않았나 싶다. 그게 참 따뜻했다. '그쪽 사람들이 다 여운을 만들었구나' 생각이 들더라."

-흑백 사극이다. "흑백영화를 찍는 것에 대한 감사함의 감정도 있었다. 흑백은 배우의 목소리와 눈빛으로 연기를 해야 하기 때문에 조금은 서툴러도 모든 것을 진실되게 표현하고 싶었다."

-힘든 점은 없었나. "사투리를 쓰거나 생물을 손질하는 것들은 전혀 어려운 과정은 아니었다. 주변에 든든한 선배님들이 계셨기 때문에 즐겁게 촬영했다. 많은 선배님들이 나를 지켜주셨다. 시나리오를 읽고 나서 '공부가 되겠구나' 싶으면서 창대에 대한 호기심이 생겼다. 근데 막상 연기를 하려니 막막하더라. '표현 이상의 무언가가 필요한데' 싶은 고민 끝엔 내가 있었다."

-창대와 변요한은 꽤 닮은 듯 하다. "확실히 나와 비슷한 부분이 있다. 그리고 많은 젊은이들을 닮아 있는 인물이라는 생각도 든다. 그래서 좀 더 잘하고 싶었다. 창대 자체가 너무 아름다운 사람이라 그 친구를 응원하고 싶고, 그 친구의 행동을 모두 예뻐하고 싶었다. '그 시대 창대가 어떤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어떤 마음으로 학문에 대해 갈증을 느낄까' 고민했다. 좋은 어른이 되고자 창대의 10대, 20대, 30대 시각과 가치관을 확장시키고 싶었다."

〉〉②에서 계속 조연경 기자 cho.yeongyeong@jtbc.co.kr 사진=메가박스중앙(주)플러스엠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