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때문에 죽는다? 한순간 방심하면 생기는 '약물사고'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2021. 4. 9. 06: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약물사고는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 의사, 약사, 환자 모두 조심해야 한다./클립아트코리아

현대의학이 발전하며 약은 질병을 통제하는 가장 강력하면서도 간편한 수단이 됐다. 만성질환 때문에 약을 먹는 게 일상인 사람도 있다. 하지만 한순간 방심하면 이 약 때문에 사고가 발생한다. 약을 복용할 땐 항상 약물사고를 주의해야 한다. 의사가 약 처방을 잘못하거나, 약사가 약 조제·복약지도를 잘못해 환자가 약을 먹고 사망하거나 상해를 입는 것을 말한다. 처방·조제·복용에 문제가 없고 약 자체 부작용으로 인해 환자가 상해·사망 피해를 겪어도 이 역시 약물사고에 해당한다.

우리나라에서 약물로 인한 사고가 얼마나 일어났는지에 관한 정확한 통계는 아직 없다. 다만 관련 상담 건수 통계는 있다.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에 따르면 2012년 868건, 2013년 1151건, 2014년 1080건, 2015년 978건 수준으로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의료 분쟁과 관련한 전체 상담 건수의 10% 내외를 차지할 정도다.

◇의사·약사·환자 모두 조심해야

약물사고는 여러 이유로 발생한다. 의사가 약을 잘못 처방하거나, 약사가 처방전과 다르게 약을 처방하기도 하지만 환자가 복용법을 제대로 지키지 않아도 사고가 생긴다. 대표적인 게 골다공증약이다. 골다공증약은 식도 점막을 자극하는 성질이 있어서 약을 먹은 후에는 물을 많이 마시고, 바로 눕지 않아야 한다. 이런 사항을 지키지 않으면 식도에 염증·궤양이 생기거나 식도 협착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골다공증의 경우 고령 환자가 많은 편인데, 나이가 들면 식도 점막이 약해져 있어서 이런 위험은 더 커진다.

약물로 인한 사고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다른 국가에서 실시된 여러 조사들에 따르면, 미국은 연간 10만명, 영국 1만명, 일본 1000명 정도가 약물 때문에 사망한다. 약의 종류가 천문학적으로 늘어나면서 사고 위험은 계속되고 있다. 의사가 약을 처방할 때, 약사가 약을 조제할 때, 환자에게 약을 투여할 때 등 각각의 상황에서 실수를 최소로 줄이는 것만이 약물로 인한 사고를 막는 방법이다.

약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정부에서는 의사가 약 처방 시 병용금기 약을 알려주는 DUR시스템을 운영하고, 각 시·도 보건소에서는 약사 감시 체계를 운영하는 등 상시 점검하고 있으며, 사고가 생긴 후에는 한국의료분쟁조정원에서 환자들이 구제 절차를 밟을 수 있도록 해놨다. 하지만 이런 시스템보다 중요한 것은 약을 직접 다루는 의사나 약사가 조금 더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 사용 가능한 약물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 만큼 부작용 등에 대한 정보를 확실히 알고, 처방·조제 시 문제가 없는 지 꼼꼼히 점검해야 한다. 환자 스스로도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반드시 약 복용법을 지켜야 한다.

◇약물사고 예방 3계명

환자가 알고 실천하면 좋은 약물사고 예방법은 다음과 같다.

의심하기=병원에 가기 전 자신이 과거에 약물 부작용을 겪은 적이 있는지 의심해야 한다. 약 복용 후 피부 발진 등 경미한 증상이 나타났다 사라지면 이를 의사에게 알리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작은 증상이라도 의사에게 미리 알려야 약물 부작용이 재발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약국에서는 처방전과 조제된 약이 자신의 것이 맞는지 의심하고 처방전에 기록돼 있는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확인해야 한다. 평소에 먹던 약과 다른 약이 처방된 경우라면 약사에게 자신의 약이 제대로 처방·조제된 것이 맞는지 한 번 더 묻는 것이 좋다. 약을 복용한 후 1~2시간 내에 몸이 붓고 가렵거나, 어지럼증 등 증상이 나타나면 약물 부작용을 의심하고 의사나 약사에게 알려야 한다.

확인하기=약을 받은 후에는 약사에게 복용법과 주의사항을 꼼꼼히 확인한다. 특히 흡입제나 분무제 등 사용법이 복잡한 의약품은 약사에게 사용법을 직접 배우는 것이 좋다. 처방과 조제가 올바르게 이뤄진 약이라도 복용 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특히 일반의약품의 경우 유효기간이 지난 약은 부작용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약 복용 전 유효기간을 확인한다.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은 유통기한이 표시돼있지 않으므로 처방 기한 내에 모두 복용해야 한다.

알리기=약을 처방·조제할 때 의사와 약사에게 자신이 평소 복용하는 약과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알려야 한다. 평소 복용하는 약이나 건강기능식품 때문에 새로 처방받은 약이 제대로 효과를 내지 못하거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약물 부작용을 경험한 사람은 각 지역의 '지역의약품안전센터'에서 부작용 약물 정보를 기록한 '약물유해반응 카드'를 발급받는 것이 좋다. 이 카드를 의사·약사에게 보여주면 부작용 유발 약물이 처방되는 것을 사전에 피할 수 있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