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팔레스타인 지원 재개..중동 정책도 '트럼프 뒤집기'

정영교 2021. 4. 8. 16: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5일 백악관에서 취임 후 첫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미국 국무부가 7일(현지시간) 팔레스타인에 대한 지원을 재개한다고 밝혔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에 대한 무기 수출 중단에 이어 팔레스타인과 관계 복원에 나서며 중동 정책에서 '트럼프 지우기'에 속도를 내는 분위기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진영에 편향된 전임 행정부의 친(親)이스라엘 정책에 문제가 있다며 다자주의로의 복귀를 예고한 바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이날 바이든 행정부가 2018년 트럼프 행정부의 팔레스타인 지원 중단 결정을 철회하고 지원을 재개한다고 밝혔다. 미 국무부는 유엔난민기구(UNRAW)에 1억5000만 달러(약 1678억원), 요르단 강 서안 지구와 가자지구 개발지원에 7500만 달러(약 839억원) 등 2억2500만 달러(약 2629억원)를 각각 배정할 계획이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이날 "팔레스타인에 대한 미국의 지원 재개 계획을 발표하게 돼 기쁘다"며 "팔레스타인에 대한 지원은 미국의 중요한 이익과 가치에 기여한다 "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번영·안보·자유를 진전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며 "이는 그 자체로 중요하지만, '합의된 두 국가 해법(negotiated two-state solution)'으로 나아가는 수단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FT는 이날 발표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친(親)이스라엘 정책을 철회하겠다는 바이든 행정부의 공약을 이행하기 위한 첫 단계라고 평가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핵심 지지층인 보수 기독교인과 유대계 미국인을 의식해 노골적인 친 이스라엘 행보를 걸었다. UNRWA가 반유대주의를 조장하고 있다는 이스라엘의 주장을 받아들여 팔레스타인으로 향하는 자금줄을 차단했고, 이스라엘의 예루살렘과 요르단강 서안지구 영유권을 인정해 미국과 국제사회가 지지해온 두 국가 해법을 사실상 무력화했다.

미국이 중동 정책의 새 판을 짜는 건 동맹국 외교를 강조하는 사이 중국이 중동 지역에서 미국의 빈자리를 파고들고 있다는 판단도 작용했다. 중국은 지난달 왕이(王毅) 외교부장을 사우디·터키·이란·UAE·바레인으로 보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공급과 인프라 투자를 약속하는 등 영향력 확대를 꾀하고 있다. 또 미국과 핵합의(JCPOA) 복귀를 놓고 기싸움을 벌이는 이란과는 포괄적 협력 관계를 25년간 유지하겠다는 내용의 협정에 서명했다.

정영교 기자 chung.yeonggyo@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