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백신發 혈전 발생 사례 3건..정부, 접종 보류

안세진 2021. 4. 7. 21: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접종받은 뒤 혈전증 진단을 받은 사례가 1건 추가돼 총 3건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7일 "지난 5일 신고된 중증사례 중 1건이 혈전증 진단을 받아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유럽의약품청(EMA)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과 희귀 혈전증 간의 관련성을 검토해 7∼8일(현지시간)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대 여성 AZ백신 접종후 다리·폐에 혈전 발생..국내 3번째 사례
60세 미만 및 특수·보건교사, AZ백신 접종 잠정 보류
아스트라제네카(AZ)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하루 앞둔 25일 서울 송파구보건소에서 관계자가 코로나19 백신을 공개하고 있다. 박효상 기자
[쿠키뉴스] 안세진 기자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접종받은 뒤 혈전증 진단을 받은 사례가 1건 추가돼 총 3건으로 조사됐다.

이에 정부는 8일 시작할 예정이던 특수학교 종사자와 유치원, 초중고교 대상 AZ백신 접종을 일시 연기했다. 또한 이미 예방접종이 진행 중인 만 60세 미만에 대해서도 한시적으로 접종을 보류했다.


AZ백신發 혈전 발생 사례 3건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7일 “지난 5일 신고된 중증사례 중 1건이 혈전증 진단을 받아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접종 후 혈전증 진단을 받은 사람은 20대 여성으로, 의료기관 종사자다. 그는 지난달 17일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맞았으며, 이후 12일만인 같은 달 29일 증상이 발생했다. 평소 앓아 온 지병(기저질환)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영준 추진단 이상반응조사지원팀장은 이날 백브리핑에서 “현재 조사된 바로는 접종 후 12일이 경과된 시점에 혈전 증상 나타났다”며 “평상시 어렵지(힘들지) 않은 활동을 할 때 숨찬 증상이 있어 병원 진료를 받았고, 며칠 더 지난 뒤 다리 부위에서 하지 부종이 동반됐다”고 설명했다.

박 팀장은 “혈전은 다리와 폐에서 확인됐고 ‘뇌정맥동혈전증’ 진단 때와 같은 뇌 혈전은 확인되지 않았다”며 “의무기록 상으로는 ‘폐혈전색전증’인데 최종 기록은 ‘심부정맥혈전증’이 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이 여성은 입원 치료 중이며, 상태는 호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국내에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받은 뒤 CVST 진단을 받은 20대 구급대원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이 구급대원은 심한 두통 증상 등이 나타나 입원 치료를 받았고, 증상이 호전돼 지금은 퇴원했다.

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사망한 사람에게서 혈전이 발견된 사례도 있다. 사망자는 요양병원에 입원해 있던 60대 환자로, 사후 부검에서 혈전증 소견이 나왔으나 당국은 백신과 무관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

26일 오전 서울 금천구 보건소에서 노인요양센터 요양보호사 신정숙 씨가 코로나19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1회차 접종을 받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혈전 논란’에 AZ백신 접종 보류


현재 정부는 이같은 혈전 논란이 계속되자 8일 시작할 예정이던 특수학교 종사자와 유치원, 초중고교 대상 백신 접종을 일시 연기했다. 

또한 이미 예방접종이 진행 중인 만 60세 미만에 대해서도 한시적으로 접종을 보류했다.

유럽의약품청(EMA)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과 희귀 혈전증 간의 관련성을 검토해 7∼8일(현지시간)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질병관리청은 EMA의 검토 결과가 나오면 이에 대한 혈전, 백신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고 예방접종전문위원회 논의를 거쳐 관련 입장을 발표할 계획이다.

asj0525@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