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마실수록 정말 '주량' 늘까?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2021. 4. 7. 18: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술은 마실수록 잘 마시게 된다' 누구나 한 번쯤은 술자리에서 들어본 말이다.

주량을 알코올을 분해하는 능력이 돼 몸이 마실 수 있는 술의 양이라고 정의한다면, 술을 많이 마신다고 주량이 느는 것은 절대 아니다.

그렇다면 왜 술을 많이 마셨더니 주량이 늘었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많은 걸까? 알코올에 대한 내성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주량이 늘어났단 착각으로 술을 마시는 속도와 양이 늘어난 채 과음을 반복적으로 할 경우 알코올 의존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술을 많이 마신다고 주량이 느는 것은 절대 아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술은 마실수록 잘 마시게 된다' 누구나 한 번쯤은 술자리에서 들어본 말이다. 그냥 속설이라고 넘기기에는 본인이 주량이 늘어난 증인이라고 나서는 사람도 있고, 실제로 그런 것도 같다. 정말 술을 마실수록 주량이 늘까? 아니라면 경험담은 왜 들리는 걸까?

주량을 알코올을 분해하는 능력이 돼 몸이 마실 수 있는 술의 양이라고 정의한다면, 술을 많이 마신다고 주량이 느는 것은 절대 아니다. 알코올을 마시면 위에서 20% 소장에서 80% 흡수해, 혈중알코올농도가 2시간 이내 절정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후 알코올은 간에 도달해 ADH(알코올 탈수 효소)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라는 물질로 분해된다. 아세트알데하이드는 다시 ALDH(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 효소)에 의해 아세트산과 물로 분해된 뒤, 소변으로 배출된다.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알코올보다 10~30배 더 독성이 강해, 분해되지 않고 체내에 남아있으면 얼굴이 붉어지거나 속이 메스꺼워지는 등의 증상이 유발된다. 다시 말해 주량은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분해하는 ALDH가 얼마나 많으냐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다. 하지만 ALDH는 술을 많이 마신다고 활성이 증가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술을 많이 마셔 간이 손상되면 알코올 분해 능력이 떨어져 주량이 줄어드는 악순환이 지속할 수 있다.

그렇다면 왜 술을 많이 마셨더니 주량이 늘었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많은 걸까? 알코올에 대한 내성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신체에는 그대로 무리가 가지만, 뇌의 알코올에 대한 내성이 증가해 똑같은 양의 술을 먹어도 이전보다 덜 취했다고 착각하는 것. 술을 분해하는 방법에 따라서 주량에 영향이 있었을 수도 있다.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대부분은 ALDH로 분해되지만, 술을 너무 많이 마셔 체내 알코올 농도가 계속 높게 유지되면 간에서 MEOS(미크로좀 에탄올 산화계) 효소가 활성화된다. 하지만 이 효소의 영향은 매우 미미한 데다, 일시적으로 작용해 실제 주량이 늘어나는 것은 아니다. 주량을 결정하는 데엔 선천적으로 정해지는 ALDH 양이 훨씬 크게 작용하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전적으로 ALDH가 부족하다. 전체 국민의 절반은 ALDH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량이 늘어났단 착각으로 술을 마시는 속도와 양이 늘어난 채 과음을 반복적으로 할 경우 알코올 의존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알코올 의존증의 주요 증상은 내성과 금단이다. 주량이 계속 늘어나고, 취하지 않으면 불안한 감정을 느낀다. 알코올 의존증이 심해지면, 음주를 줄이거나 중지하였을 때 단 몇 시간 만에 다양한 정신적 변화와 신체적 증상을 겪을 수 있다. 불안하거나 초조해지고 우울한 기분 등을 느끼면서 양손이나 혀, 눈꺼풀이 심하게 떨리는 증상이 생긴다. 구역과 구토를 하기도 한다. 지나친 알코올 섭취로 간 기능 장애나 위장 장애, 심장 장애가 동반되기도 한다. 알코올 의존증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술을 최대한 멀리해야 한다. 금단 증상이 생기는 상태가 약 12개월 이상 지속한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