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이코노미 주최 ESG 강좌 지상 중계-애플·구글·스벅, RE100 선언..한국은?

명순영 2021. 4. 1. 16:5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1년 재계 화두는 단연 ESG다.’

요즘 재계 임원 누구를 만나도 기업 최고 관심사로 ESG를 꼽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하루가 멀다 하고 ‘ESG 위원회 신설’ ‘ESG 전략 발표와 조직 개편’ ‘ESG 채권 발행’ 등의 관련 뉴스가 쏟아진다.

ESG는 환경·사회·지배구조를 경영 핵심 키워드로 꼽고 지속 가능 경영을 추진하는 전략이다. 기업이 ESG에 주목하는 이유는 매출과 이익 등 재무 성과만으로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시대가 지났기 때문이다. 과거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개념으로 기업은 선한 영향력을 끼쳐왔다. 하지만 CSR만으로는 더욱 광범위해진 사회적 요구를 채우기 힘들었다. 아울러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팬데믹은 ‘공익’ ‘상생’의 중요성을 더욱 각인시켰다.

ESG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았지만, 기업은 ‘맞춤형’ 세부 전략을 수립하는 데 혼선을 빚고 있다. 매경이코노미가 ESG 전문가 과정을 개설한 이유이기도 하다. 지난 3월 24일부터 26일까지 진행한 ESG 강좌를 지상 중계한다.

올해 재계 최고 화두가 ESG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ESG 경영을 위해서는 운용 원칙 수립부터 실행, 공시까지 꼼꼼히 가이드라인을 맞춰야 한다. 사진은 매경이코노미가 주최한 ESG 투자자 과정. <윤관식 기자>

▶투자자가 따지는 기업 ESG 준칙

▷운용 원칙 수립부터 공시까지 점검

현대 사회에서 기업은 ‘자기 돈’만으로 살림살이를 꾸려가지 않는다. 주식 시장에서 기관투자자 자금이 수혈된다. 채권을 발행할 때도 금융사 자금에 기대야만 한다. 안욱상 한국산업은행 ESG뉴딜기획부 팀장은 “기관투자가는 투자 철학·원칙, 투자 분석·의사 결정, 투자 실행 이후 등 3가지 관점에서 기업 ESG를 따진다”고 말한다.

첫째, 투자 정책상 ESG를 반영했는지부터 살핀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은 일찌감치 ‘기업이 ESG를 접목했는지가 투자 기준’이라고 밝힌 바 있다. ESG 정책과 운용 원칙을 외부에 공표해야 하고, 국제적인 기준에도 맞춰야 한다. 둘째, 투자 분석 단계에서 실제 ESG를 실행했는지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온난화를 유발하는 석탄 비즈니스를 줄여야 한다. 일례로 한국투자증권은 지난해 8월 석탄 관련 투자를 중단하겠다고 선언했다. 금융지주 차원에서 ‘탈석탄’을 선언한 KB증권 역시 국내외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신규 PF와 채권 인수를 중단하기로 했다. 삼성증권, 한화투자증권 등도 잇따라 석탄 발전 투자에서 손을 떼는 분위기다.

마지막은 투자 실행 이후 단계다. 기관투자자는 ‘당연히’ ESG 관련 정보 공개를 요구한다. 래리 핑크 블랙록 CEO는 올해 벽두에 블랙록이 투자하는 기업 CEO에게 TCFD(기후변화관련 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 권고안에 기반을 둬 관련 성과를 기한 내 공개하라고 촉구한 바 있다. 또한 미국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SASB(지속가능회계기준위원회) 산업별 표준에 따라 ESG 성과를 공개하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기관투자자의 ESG 행보는 UNEP FI(유엔 환경계획 금융이니셔티브) PRI(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를 통해서도 읽을 수 있다. 이는 전 세계 기관투자자 투자 의사 결정 때 반영해야 할 ESG 핵심 가치를 담은 6개 원칙이다. ▲투자 분석·의사 결정 때 ESG 이슈 반영 ▲투자 철학·운용 원칙에 ESG 이슈 통합 ▲투자 대상 기업에 ESG 정보 공개 요구 ▲PRI 준수·이행 노력 ▲PRI 이행을 위한 상호 협력 ▲PRI 이행에 대한 세부 활동·진행 사항 외부 보고 등이 담겼다.

▶탄소배출권 시장 전망은

▷환경 규제 강화에 가격 급등

ESG 경영에서 또 하나의 중요한 이슈가 ‘탄소배출권(CERs·Certified Emission Reductions)’이다. 탄소배출권은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다. 기업은 유엔으로부터 인증받은 온실가스 감축량만큼 탄소배출권을 할당받는다. 이를 환경부 승인을 거쳐 국내 탄소배출권 시장에서 사고팔 수 있다. 탄소배출권 거래제는 정부가 2015년부터 도입한 제도로 올해부터 2025년까지 3기가 시작됐다.

정부는 1기(2015~2017년)에는 기업에 탄소배출권을 무상으로 할당했다. 2기(2018~2020년)부터 배출권 가운데 3%를, 3기부터는 배출권 가운데 10%를 돈을 주고 구매해야 한다. 올해부터 각 기업이 돈을 내고 사야 하는 탄소배출권이 2기와 비교해 3배 넘게 늘어나 탄소배출권 가격 상승 전망에 힘이 실린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탄소배출권은 3월 한 달 동안 t당 1만8000원대에서 거래된다. 코로나19로 경제가 타격을 입기 전인 2019년 말부터 지난해 4월까지 3만원 후반대~4만원 초반대에서 사고팔렸다. 이 점을 고려하면 업계에서는 하반기 최소 3만원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한다. 최근 거래 가격 급등락은 경영 어려움을 키우는 요소로 작용한다. 배출권 가격 변동성이 크면 적절한 배출권 매매 시점을 찾아야 할 기업 의사 결정에 지장을 주기 때문이다.

기업은 앞으로도 탄소배출을 계속 줄여야할 듯 보인다. 우리 정부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수정 로드맵을 통해 2017년 7억910만t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5억3600만t으로 줄인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노동길 NH투자증권 투자전략부 책임연구원은 “정부 정책의 큰 방향은 배출권 거래 활성화”라며 “한국은 기후 변화 대응 성과가 떨어지는 ‘기후 악당’ 국가로 꼽히기 때문에 강력한 정책 드라이브가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지난해 전 세계가 온실가스 감축에 투자한 비용은 사상 처음으로 5000억달러를 넘어섰다. 블룸버그 뉴에너지 파이낸스에너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신재생에너지 분야 투자 규모는 2019년 대비 9% 증가한 5013억달러를 기록했다. 2017년 4000억달러를 돌파한 뒤 3년 만에 5000억달러를 넘어섰다.

▶재계 ESG 채권 발행 봇물

�툶CMA·CBI 기준 충족해야

포스코건설은 최근 1400억원 규모의 ESG 채권을 발행하기로 결정했다. 당초 ESG 채권 800억원과 회사채 300억원 등 총 1100억원을 발행할 계획이었는데, 수요 예측에서 6배 가까운 수요가 몰렸다. 포스코건설은 급히 발행 규모를 700억원 확대했다. 네이버는 5억달러(약 5643억원) 규모 5년 만기 ‘지속 가능 채권(Sustainability Bond)’을 발행했다. 미래에셋은 사회적 책임 투자 목적으로 발행된 채권에 투자하는 ‘미래에셋지속가능ESG채권펀드’를 출시하는 등 ESG 채권이 봇물을 이룬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ESG 채권은 1년여 만에 3배 넘게 급증, 100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0년 초 기준 30조1330억원 대비 3배 이상 증가한 규모다.

ESG 채권은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 개선 등 사회책임 투자를 목적으로 발행하는 채권이다. 녹색 채권(Green Bond)과 사회적 채권(Social Bond), 지속 가능 채권 등 3종류가 있다.

ESG 채권 요건을 규정하는 국내 법률·기준은 없다. 다만 민간 자율 규제가 있다. 한국거래소는 ICMA(국제자본시장협회)와 CBI(국제기후채권기구) 가이드라인을 충족했을 때 ESG 채권을 등록한다. 김민정 브이아이자산운용 채권운용2본부 본부장은 “국내 연기금, 운용사, 금융그룹을 중심으로 ESG 채권 투자 수요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ESG에서 또 하나 중요한 키워드가 RE100(Renewable Energy 100%)이다. RE100은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하겠다고 선언하는 자발적 글로벌 캠페인이다. 애플, 구글, GM, BMW, 코카콜라, 스타벅스 등 280여개 글로벌 기업이 참여한다. 우리 정부도 ‘한국형 RE100’을 시행한다. 정부는 K-RE100 이행 지원을 위해 녹색 프리미엄, 인증서(REC) 구매, 제3자 전력거래계약(PPA), 지분 투자, 자가 발전 등을 이행 수단으로 도입하기로 했다.

[명순영 기자 msy@mk.co.kr]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2102호 (2021.03.31~2021.04.06일자)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