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은 사실" 건강한 바이오에너지를 통한 기후변화 대응 필요

임소라 2021. 3. 3. 14: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유엔기후변화협약사무국에 제출한 우리나라 장기저탄소발전전략(2050)을 살펴보면 산림의 적절한 관리를 통해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등 국산 목재제품의 활성화를 통해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산림청도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발표하면서 우리나라 산림의 심각한 노령화 현상에 주목했다.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량은 2018년 4,560만 톤으로 전체 배출량(7억2800만 톤)의 6.3%를 차지했으나, 노령화로 인해 2050년에는 1,400만 톤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전만이 능사는 아니라는 이야기다. 수십억 그루의 나무를 적정 수종으로 교체함으로써 건강한 숲을 가꾸어야 한다는 의미다.

195개 회원국이 참여하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에 따르면 산림을 활용한 바이오에너지는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핵심 기제로 규정하면서 탄소중립의 중요 원천으로 주목한다. 특히 일각이 의견과 달리 IPCC는 바이오에너지가 탄소중립이 아니라고 밝힌 적이 없다고 전했다. IPCC는 지침을 통해 바이오에너지의 CO2 배출량을 더욱 정확히 추정하기 위해 각국의 추가적인 데이터 수집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라는 것이다.

그렇기에 바이오매스 그 자체가 탄소중립이라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다만, 바이오매스의 현대적 이용을 과학적으로 해석하는데 있어서는 100% 탄소중립이냐 아니냐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을 뿐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실제 IPCC는 2019년 지침 개정안을 통해서도 바이오매스를 연료로써 에너지원으로 활용함에 있어 CO2 배출량을 별도로 산정하지 않는다는 대원칙을 유지하고 있다. IEA는 바이오매스의 연소시 이중계산을 피하므로 간과되는 탄소회계상 오류는 없고, 탄소중립이 맞다는 입장이다. 특히 IEA는 바이오매스를 에너지로 사용하는 경우 기후변화 효과를 논함에 있어 연소 시점의 온실가스 배출량만을 비교하여 결정할 수 없다는 의견이다.

IPCC는 나무가 베어지는 일련의 과정에서 산림 및 토지사용 탄소가 발생하는 것을 AFOLU(Agriculture, Forestry and Other Land Use)라 정의한다. AFOLU 부문은 온실가스 통계로 산정하고 있으나, 목재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때 저장된 탄소가 배출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추가적으로 계산하는 것은 부문간 중복계산으로 간주하여 금지하고, 이를 탄소배출 이중 산정금지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언급된 부문간 이중산정 금지라는 원칙은 국제 합의사항으로써 일부의 주장에 의해 흔들릴 가치가 아니다. 다만 IEA와 IPCC는 바이오매스의 생산과 이용에 있어서 이산화탄소의 배출에 대해서는 추정하고 보고하는 등의 관리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특히 IEA는 객관적인 태도로 국제 합의사항에 대한 해석의 일관성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바이오매스 활용 시에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해 부수적으로 배출되는 CO2가 있는 것은 사실이나 바이오매스를 이용함에 따라 얻어지는 기후적 편익에 비하면 그 정도는 극히 미미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바이오에너지의 공급망에 체계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IEA는 “분석에 따르면 공급망에서 사용되는 화석에너지는 일반적으로 바이오에너지 제품이 지닌 에너지 함량의 매우 작은 부분일 뿐”이라는 것이다. 오히려 산림과 관련하여 도시화, 산불, 해충 등 자연적이거나 인위적인 교란에 의한 탄소 손실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의견이다. 즉시적인 산림복원이 수반되지 않는, 즉 산림을 깎아 만드는 육상풍력이나 산지태양광이 오히려 기후변화적 측면에서 부정적이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이수민 연구관은 “REC 시장에서 특정에너지원의 비중이 50%에 육박하면서 편중성이 심화되고 있는데, 2018년 이후 REC 현물시장 가격의 하향추세와 맞물려 정상가격으로 회복은 요원한 실정”라면서 “2019년 설비용량 대비 발전량을 고려할 때 태양광은 12.8%, 풍력은 20.1% 남짓이나 바이오에너지의 설비 이용률은 64.4%인 현실을 직시하여 안정적인 재생에너지 체계에 기여하는 정도를 유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임소라 기자 mail00@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