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세가율 반년만에 첫 하락..전세난 잡힐까, '글쎄'

박장군 2021. 3. 3. 11: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4 주택공급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가 다소 꺾인 가운데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인 전세가율 상승세도 진정 신호를 보이고 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지난해 7월(57.26%)부터 올해 1월(58.55%)까지 매달 상승했다가 지난달 58.52%로 처음 하락했다.

실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지난해 12월 0.96%에서 지난 1월 0.74%, 2월 0.60%로 2개월째 오름폭이 줄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2일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2·4 주택공급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가 다소 꺾인 가운데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인 전세가율 상승세도 진정 신호를 보이고 있다. 전세가율이 지난해 새 임대차법 시행 이후 처음 하락한 것이다.

3일 KB국민은행 주택가격동향 시계열 통계를 보면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지난달 56.17%로 전달(56.26%)보다 0.09% 포인트 떨어졌다. 지난해 7월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상한제를 담은 새 임대차법이 시행된 이래 줄곧 오르다 처음 낮아졌다. 한국부동산원 통계도 비슷한 흐름을 보인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지난해 7월(57.26%)부터 올해 1월(58.55%)까지 매달 상승했다가 지난달 58.52%로 처음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의 전셋값 상승세가 꺾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실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지난해 12월 0.96%에서 지난 1월 0.74%, 2월 0.60%로 2개월째 오름폭이 줄었다. 향후 3개월 서울 아파트 전셋값 전망(KB부동산 전망지수)도 지난해 8월 142.6까지 올랐다가 5개월 연속으로 내림세를 보였다. 지난달에는 114.6까지 지수가 떨어졌다. 전세수급지수도 지난달 160.1로 지난해 2월(160.9) 수준으로 내려갔다. 1∼200 사이로 표시되는 이 지수는 수치가 높을수록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하다는 뜻이다.

하지만 서울 전세 시장 과열이 꺼졌다고 보기엔 이르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전문가들은 올해 입주 예정인 서울 아파트가 2만6940가구로 지난해보다 45% 줄어들고, 봄 이사 철인 4∼5월이 다가오면서 전셋값이 다시 들썩일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