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삽화" 군함도 그림책까지 시비 거는 日극우

김아현 2021. 2. 26. 17: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아동용 그림책 '군함도-부끄러운 세계문화유산'과 관련해 일본 언론이 "사실과 관련 없는 삽화를 실었다"고 주장했다.

일본 산케이신문은 군함도 전 거주자 모임인 '진실한 역사를 추구하는 하시마(端島·군함도) 도민의 모임'과 공동 조사한 결과, 해당 그림책에 게재된 삽화 두 점이 군함도와 관련 없다고 26일 보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산케이, 삽화가 잘못된 인상 준다고 주장
韓 군함도 그림책에 사실과 다른 삽화 게재했다고 보도한 산케이 신문. 산케이 신문 홈페이지 캡쳐


한국 아동용 그림책 ‘군함도-부끄러운 세계문화유산’과 관련해 일본 언론이 “사실과 관련 없는 삽화를 실었다”고 주장했다.

일본 산케이신문은 군함도 전 거주자 모임인 ‘진실한 역사를 추구하는 하시마(端島·군함도) 도민의 모임’과 공동 조사한 결과, 해당 그림책에 게재된 삽화 두 점이 군함도와 관련 없다고 26일 보도했다.

산케이 신문은 해당 그림책이 군함도와 무관한 삽화를 사용해 군함도에 대한 잘못된 인상을 줬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문제 삼은 삽화 중 하나는 십여 명의 소년들이 벌거벗은 채 감금돼 철창에 기대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산케이는 이 삽화가 1977년 출판된 사진집 ‘일본 현대 사진역사 1945-1970’에 수록된 ‘1946년 도쿄 시나가와(品川)에서 촬영된 소년 보호소 부랑 아동 사진’과 구도가 흡사하다고 했다.

또 다른 하나는 일본군이 조선인 소년을 심문하는 장면이 담긴 삽화다.

그러나 산케이는 이 삽화에 대해 1937년 8월 8일에 종군 카메라맨이 중국에서 촬영한 사진과 구도가 비슷하다고 주장했다.

그림책 저자인 윤문영 작가는 산케이신문에 해당 삽화에 대해 “그림책은 1983년 한국에서 출판된 ‘사진 기록 일제의 침략 한국·중국’의 사진을 참고로 했다”고 출판사인 열린교육을 통해 답변하고, 군함도와 무관한 자료를 바탕으로 했다고 인정했다고 산케이는 전했다.

전 군함도 주민인 나카무라 요이치(中村陽一·82)는 “관계없는 사진으로 그림책을 만들다니 어디까지 군함도를 깎아내리면 직성이 풀리겠느냐”며 “그림책의 회수와 사과를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에서 2016년에 발간한 그림책 ‘군함도-부끄러운 세계문화유산’은 일본 군함도에 강제 징용된 조선인들의 가혹한 노동환경을 다루고 있다.

군함도는 일제강점기 때 조선인들이 강제 징용돼 석탄 노동에 동원됐던 곳이다. 일본은 메이지 근대산업시설을 201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올리면서 조선인들이 강제징용을 당했다는 역사를 기록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이후 일본 정부는 강제 노동의 의미에 대해 해석을 달리하며 강제징용 사실을 명기하지 않고 있다.

김아현 인턴기자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