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첫 백신 접종 D-2, 접종 후 몸살 있다면 진통제 복용

김수진 2021. 2. 24. 17: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코로나19 백신 첫 접종을 이틀 앞두고, 보건당국이 자세한 접종 주의사항에 대해 밝혔다.

오는 26일부터는 요양병원, 요양시설의 만 65세 미만 입소자·종사자, 27일부터는 코로나 환자를 직접 치료하는 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순차 접종이 시작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수진 기자]

국내 코로나19 백신 첫 접종을 이틀 앞두고, 보건당국이 자세한 접종 주의사항에 대해 밝혔다.

오는 26일부터는 요양병원, 요양시설의 만 65세 미만 입소자·종사자, 27일부터는 코로나 환자를 직접 치료하는 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순차 접종이 시작된다.

● 접종 전 주의사항

현재 임산부, 18세 미만 소아·청소년은 임상 연구 데이터가 부족해 접종 대상이 아니다.

예방접종대상자는 접종 전 의사에게 미리 진료(예진)을 받아야 한다.

이때 자신의 약물, 식품 등 알레르기 병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줘야 도움이 된다.

코로나 19 감염 의심 증상이 있거나, 발열 증상이 있다면 접종을 보류해야 한다.

다른 질환의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면 최소 2주(14일) 간격을 두는 게 좋다.

● 접종 후 주의사항

대부분의 약물은 사람에 따라 아나필락시스 등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중증 이상 반응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코로나19 백신도 예외가 아니기 때문에, 접종 후 15~30분간 접종 받은 의료기관에 머물며 자신의 상태를 관찰해야 한다.

갑자기 숨이 차거나, 입술이나 눈가 등 점막이 붓거나, 심하게 어지럽고 온 몸이 간지럽다면 중증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를 의심할 수 있다.

고열이 날 때도 반드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

단, 접종부위 국소반응(통증·붓기·발적)과 몸살 증상(미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 구토)는 대부분 수일 내에 증상이 사라지며 아나필락시스와는 큰 관련이 없다.

몸살 증상이 있을 때는 진통제 복용이 도움된다.

진통제는 염증을 억제하는 엔세이드(NSAID) 계열 소염제가 기전상 백신 접종 후 나타나는 면역반응 정도를 낮출 수 있어, 엔세이드 계열(아스피린 등) 보다는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을 선택하는 게 이론상 안전하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어렵게 시작된 예방접종이 큰 차질 없이 진행돼서 저희가 집단면역을 형성할 수 있게끔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며 "예방접종을 목표대로 진행하려면 코로나19의 유행이 적절하게 통제가 되어야만 가능하므로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백신 자체에 대한 우려에 대해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브리핑을 통해 '접종시 피해보다 이득이 훨씬 크다'고 설명했다.

최원석 고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 백신이 완벽한 약이 아니라 맞는다고 해서 100% 안 걸리는 것도 아니고, 부작용이 전혀 없는 것도 아니다"라며 "그렇지만 백신접종을 했을 때 개인의 관점에서 충분한 이득이 있고, 생길 수 있는 피해보다 훨씬 더 그 이득의 수준이 높다"고 설명했다.

김중곤 서울의료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필요 이상으로 불안해 할 필요가 없다"며 "적극 코로나 백신을 접종하시는 게 좋겠다고 강력히 권고를 드린다"고 덧붙였다.

김수진기자 sjpen@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