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아이스아레나경기장, 수영장으로 거듭난다

서승진 2021. 2. 24. 04: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18평창동계올림픽 때 피겨와 쇼트트랙 종목이 열렸던 강릉 아이스아레나 경기장(사진)이 수영장으로 변신한다.

강원도 강릉시는 3월부터 오는 12월까지 85억원을 들여 아이스아레나 지하 1~2층에 길이 50m, 8레인 규모의 수영장을 조성한다고 23일 밝혔다.

수영장으로 변신하는 '강릉 아레나'의 지하층은 평창동계올림픽 때 피겨·쇼트트랙 선수를 위한 보조경기장으로 사용했던 곳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2월까지 8레인 규모 조성
수영 인구 저변 확대 이바지


2018평창동계올림픽 때 피겨와 쇼트트랙 종목이 열렸던 강릉 아이스아레나 경기장(사진)이 수영장으로 변신한다.

강원도 강릉시는 3월부터 오는 12월까지 85억원을 들여 아이스아레나 지하 1~2층에 길이 50m, 8레인 규모의 수영장을 조성한다고 23일 밝혔다.

수영장은 수심 1.4m의 성인 풀과 수심 0.9m 유아 풀을 비롯해 탈의실과 샤워실 등 편의시설, 휴게공간을 갖춘다. 또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수영용품점도 운영한다.

시는 오는 12월 준공한 뒤 시범운영 기간을 거쳐 ‘강릉 아레나’ 수영장을 정식 개장할 예정이다. 수영장으로 변신하는 ‘강릉 아레나’의 지하층은 평창동계올림픽 때 피겨·쇼트트랙 선수를 위한 보조경기장으로 사용했던 곳이다. 피겨·쇼트트랙 본 경기가 열렸던 ‘강릉 아레나’의 지상층은 2019년 행사·공연을 위한 전용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시는 50m 길이의 실내 수영장이 본격 운영되면 생존 수영 활성화는 물론 수영 인구의 저변 확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릉지역의 공공 수영장은 길이 25m 규모의 국민체육센터 강릉수영장 한 곳 밖에 없다. 이 때문에 수영장 이용 접수신청이 조기에 마감되는 등 시설 부족으로 인해 많은 불편이 초래됐다.

강릉시 관계자는 “지상층의 행사·공연장과 연계한 문화·스포츠 복합공간으로 사랑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다른 올림픽 시설도 변신 중이다.

강릉하키센터는 경기장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한 채 다양한 첨단 디지털 기술, 예술을 융합한 새로운 개념의 디지털 공연장으로 꾸며진다. 이곳에선 미디어파사드, 3D 맵핑 기술, 홀로그램, 스마트 스테이지, 드론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이 융합된 새로운 개념의 공연 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다.

올림픽의 생생한 모습을 전 세계에 전했던 국제방송센터(IBC)는 국립문헌보존관으로 기능을 바꾼다. 이 시설은 2m 이상의 적설량을 견딜 수 있는 구조와 공조시스템, 난방 설비 등을 갖추고 있다. 국립문헌보존관 조성에는 985억원의 사업비가 전액 국비로 투입된다.

썰매 종목이 열렸던 올림픽슬라이딩센터는 ‘플라잉 스켈레톤’이 설치된다. 공중에 매달린 썰매에 배를 대고 누워 마치 스켈레톤 타듯이 트랙을 내려오는 체험 시설이다. 슬라이딩센터 지붕에 레일을 설치한 뒤 공중에 매달려 상단지점에서 하단지점으로 내려오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슬라이딩 트랙 1.56㎞를 따라 평균 시속 40㎞, 최대 시속 60㎞로 내려온다.

강릉=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